[기고 칼럼] 취수원 이전, 물리적 과학이지 지역 갈등 아니다
[기고 칼럼] 취수원 이전, 물리적 과학이지 지역 갈등 아니다
  • 신아일보
  • 승인 2021.04.18 1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휘태 전 안동시 풍천면장
 

국무조정실과 환경부에서 지난해 9월 ‘낙동강 유역 통합 물관리 방안’과 ‘구미산단 폐수 무방류시스템 구축’ 연구용역을 완료하고도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또다시 오는 6월까지 ‘갈등관리’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니 참으로 답답하다. 국무총리까지 나서서 낙동강 식수문제를 해결하겠다고 20억원이나 투입한 연구용역을 제대로 발표조차 못하고 갈등만 키우고 있는 것이다.

국가하천에서 주민들에게 피해가 없도록 정부에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취수원 이전방안을 마련하면 지역갈등이 일어날 이유가 없다. 그런데 왜 일방적인 취수방안만 반복해 갈등을 폭발시키는지 도대체 이해할 수 없다. 분명히 대구·경북이 상생발전 할 수 있는 물리적 대안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전인수만 고집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너무나 안이하게 물을 끌어만 가겠다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제는 실현가능한 물리적 대안으로 ‘강물순환공법’을 적극검토·추진할 때이다. 취수원을 최상류로 이전하고, 취수량(1일 100만t)만큼 대구취수장에서 강물을 순환시켜주는 것이다. 구미, 상주, 칠곡 등 낙동강취수지역 모두 최상류에서 지방광역상수도로 일괄 공급해, 강물순환에 따른 수질오염을 예방하고 지금보다 더 맑은 물을 공급한다. 강물이 흐르는 도청신도시부근에 취수장과 정수장을 설치하고 1차 정수처리 한 원수를 공급하면, 각 지역별 현행대로 재처리해 공급한다.

이러한 ‘강물순환공법’ 지방광역상수도는 상·중·하류지역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WIN-WIN-WIN 전략이다. 일석삼조의 TRIPLE 만족은 첫째, 대구, 구미, 상주, 칠곡 등지에 지금보다 맑은 물을 안전하게 공급한다. 둘째, 지방광역상수도사업으로 2조5000억원의 건설경기부양과, 연간 300억원의 물 값 수익과, 상시 200명의 고용효과로 소멸위기에 처한 북부지역경제를 살린다. 셋째, 연간 90억원의 동력비가 소요되는 만큼 강물순환으로 유하거리가 늘어나 수질을 개선한다.

이렇게 더할 나위 없는 현실적 대안을 두고 일방적 취수나, 재자연화로 친환경수질개선이나, 검증되지 않은 고비용 무방류시스템이나, 강변여과 등의 다변화방안은 모두가 시·공간적으로 불완전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강물순환공법’은 비록 강물을 역류시키는 부담을 감수하더라도, 지금 당장 물리적으로 확실하게 최상류의 맑은 물을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고 완벽한 방법이다.

지역 언론에서도 지적하듯이 지금 환경부에서 추가로 용역발주 한 ‘갈등관리’는 본질을 벗어난 시간 허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따지고 보면 구미지역도 30년 전의 페놀사고 피해지역이다. 그런데 왜 구미지역으로 취수원을 이전하려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어차피 이전을 하려면 가장 확실하게 최상류로 이전해야 오염사고를 근원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단, 제련소와 광산의 중금속 차단은 별개의 선제조건이다.

또한 부산, 창원 등 낙동강 외의 수계에서도 최상류에서 취수해 지방광역상수도로 일괄 공급하는 ‘강물순환공법’은 똑같다. 대구·경북뿐만 아니라 부산·경남지역도 같은 방식으로 상·중·하류지역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취수원 이전이 가능하다. 30년째 숙원사업인 영남지역 1300만 주민들의 식수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할 수 있다. 일석삼조의 TRIPLE 만족으로 상·하류지역 간 균형·상생발전을 도모하자.

더 이상 식수 문제로 지역갈등을 일으키지 말아야 한다. 취수원 이전은 물리적인 과학이지 지역적인 갈등이 아니다. 또한 상호보완적으로 협력할 문제이지 상대적으로 피해보상이나 다툴 문제가 아니며, 정치·경제적인 문제도 아니다. 그러므로 2조5000억의 고비용이라도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하루빨리 추진해야 한다. 종합해보면 경북도청신도시가 대구취수원 이전 최적지이다. 금상첨화로 하회·병산 세계문화유산 보호구역으로 상수원보호구역도 대체할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이다.

/김휘태 전 안동시 풍천면장

※ 외부 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maste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