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수원 전투비행장’은 화성 갯벌을 대신할 수 없다
[기자수첩] ‘수원 전투비행장’은 화성 갯벌을 대신할 수 없다
  • 강송수 기자
  • 승인 2020.08.18 15: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3년 4월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국방부의 수원 전투비행장 이전 건의서 승인(2015년) 및 단독 예비 이전후보지 ‘화성시 화옹지구 확정(2017년)’이 발표되면서 시작된 갈등이 4년차를 맞았다. 사업을 주도했던 수원시로서는 조급할 만한 시간이다.

화성시의 반대로 2017년 이후 사업이 중단되자 수원시는 측면 지원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유치시민연대’를 앞세워 ‘경기남부 민군통합 국제공항’이라는 새로운 군불 때우기에 한창이다.

지난해 4월 국토교통부는 경기남부 통합국제공항을 전혀 검토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했으나 여론몰이용 통합국제공항 밀어붙이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올해 들어서는 주요 지방지들이나 중앙지가 신문 1면 톱, 경제면, 칼럼, 여론조사 등을 통해 공정성이나 객관적인 시각보다는 종전부지 위주의 ‘민군통합 국제공항 지피기’에 주력한다. ‘수원 군(軍)공항 이전갈등, 민간공항 함께 지으면 풀릴까’, ‘경기 남부 후보자들, ’국제공항‘을 공약(公約0하라’, ‘수원 군공항, 옮기는 김에 국제공항으로 키워?’, ‘화성시민들 국제공항 건설 찬성 앞서’, ‘통합국제공항 유치… 경기남부 하늘길 열자’ 등등이 그것이다.

최근 통화한 수원시 공무원에 따르면 ‘통합 국제공항’은 군공항이전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추진된 용역이나 주민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경기남부에도 국제공항 하나 있을 법 하지 않느냐 해서 수원ㆍ화성ㆍ오산ㆍ평택ㆍ안산ㆍ의왕ㆍ과천ㆍ안양 등 8개 지자체 주도의 ‘국제공항유치도민연합회’도 지난 3월 결성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통합 국제공항은 시민단체의 주장이고 수원시는 동조하는 입장에서 그들의 요구에 각종 지원을 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동안 통합 국제공항 주관 단체로 명기된 경기남부통합국제공항유치시민연대의 실제 유무를 의심하는 사례가 많아 각종 포스터ㆍ전단지의 주관 단체를 ‘국제공항유치도민연합회’로 수정하는 작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당당히 나서 ‘내가 원한다’고 하지 않고 누가 봐도 뻔한 수원시의 거짓은 어디서부터 비롯된 것일까. 솔직히 수원 권선구 장지동 및 화성 황계동 일대에 걸쳐 있는 전투비행장은 수원뿐 아니라 화성 병점동과 진안동, 화산동, 기배동, 봉담읍, 반월동, 동탄 일부지역도 소음피해지역이다. 탓에 김진표 의원을 비롯해 수원시, 광주광역시 의원 등이 지난달 8일 발의한 ‘군공항의이전및지원에관한특별법일부개정안’은 수원시에 절대 유리하다. 지난 2018년 김 의원이 발의했으나 국방위 심의 후 자동폐기된 내용으로 이전 후보지 단체장이 반대할 수 있는 이전부지 주민투표 등을 강제규정 했다. 또 후보지 선정기한을 규정하고 국가가 이전 주변지역에 대한 지원사업을 직접 할 수 있는 근거를 담았다.

정치력 및 언론 환경이 상대적 열세인 화성시의 대응은 동부권-서부권 이해가 첨예하게 엇갈린 상태에서 여론 분열과 갈등이 뻔하지만 한정적이다. 인구수에서 절대 우위에 있는 동부권 주민들의 찬성표도 부담스럽긴 마찬가지다.

다만, 자연은 본래의 모습일 때 가장 큰 가치가 있다는 사실이다.

1960~1970년대 개발시대에나 가능한 셈법으로 수도권 2500만 시민들의 생태관광지가 송두리째 파괴되는 것은 환경오염, 지구온난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또 다른 의미의 살육이 될 수 있다. 환경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매향리갯벌 등을 후손들에게 그대로 보전ㆍ계승하는 84만여 화성시민 모두의 화성 서해안을 이 자리를 빌어 기대하고 호소해 본다.

[신아일보] 화성/강송수 기자

sskin@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