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마민주항쟁’국가기념일 의미는
[사설] '부마민주항쟁’국가기념일 의미는
  • 신아일보
  • 승인 2019.10.16 17: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신체제에 맞섰던 '부마민주항쟁'이 40주년을 맞았다. 16일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첫 정부주관 행사에는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했다.'부마 민주항쟁'이 강산이 네 번이나 바뀐 가운데 역사적 가치를 재평가 받고 있어 의미가 더 크다.

1979년 10월 16일, 당시 부산대에서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투쟁의 함성이 터져 나오면서 자유와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함성은 순식간에 도심으로 퍼졌다. 이틀 뒤인 18일 부산에 비상 계엄이 선포된 가운데 반정부 시위가 마산, 창원, 진주지역으로 번지면서 수많은 시민이 참가했다. 유신 시대, 최초이자 최대의 시민항쟁으로, 이로 인해 10·26사태로 이어지면서 군사 독재정권을 무너뜨린 도화선이 됐다. 부마항쟁 열흘 뒤인 1979년 10월26일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박 대통령을 시해하면서 유신체제는 막을 내렸다.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이었지만, 그동안 역사적 가치는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조직적인 지도부 없이 노동자, 자영업자 등 지극히 평범한 보통사람들이 주역으로 전개된 항쟁으로 5일 만에 종료됐지만 4.19혁명, 5.18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과 함께 우리나라 4대 민주화 운동으로 꼽히고 있다. 

국가기념일로 지정됐지만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민주항쟁 정신을 올바르게 계승하기 위해 재평가와 함께 진상규명, 피해자에 대한 명예회복과 보상 등도 이뤄져야 할 것이다.

공식적으로 지금까지 진상규명위에 접수된 부마항쟁 관련 신청은 300건 남짓이고, 국가에서 인정한 관련자도 200여 명 정도에 머물러있다. 그때 기억을 끄집어내는 일이 또 다른 고통일 수 있지만 진상을 규명하는 등 역사를 바로 잡을려면 피해 당사자들의 증언이 절실하다.

진실을 파헤치는 위원회의 조사 기간은 올해 말이면 끝난다. 하지만 관련자들의 조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만큼 진상규명을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해 보인다.

부마민주항쟁은 시민들의 몸과 마음으로 자유와 평등을 소리 높이 외쳤던 사건이다. 오늘날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 굳건히 서 있게한 시금석이기도 하다. 

문대통령은 부마항쟁 40주년 기념사에서 "유신독재 피해자에 대통령으로서 사과한다"면서 "지금 국민은 더 많은 민주주의와 더 좋은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신독재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의 새벽을 연 '부마민주항쟁'이 어둠을 밝히는 촛불로 옮겨 붙었다. 그들의 용기와 희생을 바탕으로 정의로운 촛불을 든 시민들이 태동한 것이다. 그 날의 선량하고 정의로웠던 시민들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우리는 국민의 이름으로 또 다른 역사를 쓰고 있다. 경제적으로만이 아닌 정신적, 문화·사회적으로도 성숙한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 새로운 대한민국이 되길 소망한다.

[신아일보]

maste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