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재계의 숙제 데드라인(deadline)
[기자수첩] 재계의 숙제 데드라인(deadline)
  • 이승현 기자
  • 승인 2017.07.25 16: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 일자리 창출, 대-중소기업 동반성장과 상생협력,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1만원 여기에  법인세 인상까지" 재계가 새 정부에서 해결해야 할 숙제거리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기업들은 자의반 타의반 정부가 던져준 숙제 해결에 고심하고 있다.

힘든 과제들이 한꺼번에 던져진 터라 여간 부담스럽다는 반응도 있지만 우선은 정부 정책에 최대한 보조를 맞춘다는 것이 전반적인 재계의 분위기다.

다만 정부의 이러한 요구에 따른 재원 마련과 적용 범위 및 시점은 여전히 고민거리다.

특히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에 이름을 올린 기업들은 혹시 현 정권에 미움을 살지나 않을까 염려하며 다른 기업들의 상황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업들의 짊어진 숙제거리 역시 전(前)정부와는 양상이 많이 다르다.

항상 새 정부가 출범하면 청와대에 모여 정해진 답처럼 읊었던 ‘투자확대 방안’은 이번 정부에서는 통하지 않아 보인다.

낙수효과가 통했던 시절도 이미 지났고 이에 대한 기대효과와 약발도 떨어져 정부의 상생방안을 기업들이 거부할 명분이 많이 줄었다.

마땅한 변명거리가 없는 기업들은 또 다시 노동유연성 등을 핑계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의 요구를 묵살한다면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이 정부 들어 상생기업의 표본이 된 ‘오뚜기’와 갑질 기업의 오명을 쓴 ‘미스터 피자’의 흥망성쇠가 이를 잘 보여주는 경우다.

때문에 사회적 여론까지 집중된 상황에 여론에 높은 지지를 받는 정부가 던져준 숙제를 마냥 미루거나 무시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이런 가운데 두산그룹이 본격적인 숙제해결에 포문을 열었다.

두산그룹은 '450명의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화와 협력·용역·도급 업체 근로자 임금 및 복리후생 증진방안'을 발표하며 가장 먼저 새 정부 정책에 화답했다.

내부적으로 유·불리를 따지며 주판만 튕기고 있던 여타 기업들에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셈이다.

두산의 상생협력 방안 발표 뒤 재계의 내부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특히 오는 27일과 28일로 다가온 청와대 간담회에 선물보따리를 준비하던 기업들은 두산의 셈법을 기준으로 밀린 숙제를 마무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참여 기업들이 기업 규모에 맞춰 두산그룹 수준의 선물을 준비할 것이란 얘기가 벌써부터 나온다.

재계의 숙제 데드라인이 다가오고 있다는 말이다.

[신아일보] 이승현 기자 shlee4308@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