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본시장에 사회책임투자 바람 분다
국내 자본시장에 사회책임투자 바람 분다
  • 곽호성 기자
  • 승인 2017.05.29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배구조 개선 기대감에 지주사 주가 올라

▲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경제민주화를 강조하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국내 자본시장에서 사회책임투자가 주목받고 있다. 사회책임투자는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감안해 투자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선진국에서는 기업이 친환경 경영을 하는지, 사회적 책임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지배구조는 건전한지를 살펴보는 사회책임투자가 자본시장에서 자리를 잡았다.

우리나라에선 2001년 사회책임투자(SRI)펀드가 처음 생겼다. 2006년엔 국민연금에서 펀드를 위탁 운용하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기업 및 투자자들의 무관심과 제도 불충분으로 인해 외면 받아 왔다.

그러나 경제민주화를 내세운 새 정부 출범을 계기로 상황이 바뀌었다.

24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내놓은 스튜어드십 코드 1호 투자자는 금융당국이 준비했던 ESG 정책의 첫 번째 생산물이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해 주주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위탁받은 자금의 주인인 국민이나 고객에게 이것을 투명하게 알리게 하는 가이드라인이다.

국내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지난해 말 기본 7개 원칙을 공포하고 시행한 이후 5개월여 동안 도입기관이 나오지 않았다. 그러던 중 사모펀드(PEF)인 제이케이엘(JKL)파트너스가 이날 처음 참여 의사를 내놓았다.

미래에셋자산운용과 IBK투자증권 등 23개사도 스튜어드십 코드 참여가 예정돼 있다. 국민연금은 최근 연구용역을 발주하면서 본격적인 도입 준비에 들어갔다.

환경·사회·지배구조 우수 기업에 투자하는 사회책임투자(SRI) 펀드는 8년 만에 상품이 출시된다. 하이자산운용이 29일 내놓는 ‘하이사회책임투자증권투자신탁’이 그것이다.

제로인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14개의 SRI 펀드가 운용되고 있다. 연초 이후 평균 수익률이 11.06%이며 최근 3개월 평균 수익률이 6.85%다.

라임자산운용이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국내 첫 행동주의 헤지펀드 ‘라임데모크라시’도 최근 해외 연기금 기관투자가를 찾고 있다. 행동주의 헤지펀드는 일정 의결권을 구한 다음 배당 확대 등 주주가치를 높일 수 있는 행동을 적극 요구해 주가를 올려 수익을 내는 펀드다.

ESG는 조만간 은행 여신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신한금융지주는 ESG 평가를 기업 여신 의사결정 및 투자 과정에 적극 반영하는 제도를 연내 도입할 계획이다.

최근 지주사 주가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ESG가 자본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는 근거다.

새 정부 등장 이후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 투자자들이 미리 주요 그룹 지주사들 주식을 사들이면서 그룹 지주사들 주가가 오르고 있다.

[신아일보] 곽호성 기자 lucky@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