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 정권에 맞는 국가안보실장 임명해야
[사설] 새 정권에 맞는 국가안보실장 임명해야
  • 신아일보
  • 승인 2017.05.15 18: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국무총리·국정원장 후보자와 함께 청와대 비서실장과 민정·국민소통·인사 수석을 임명한데 이어 정무수석 등의 명단을 발표했다. 그러나 국가안보실장 임명이 늦어지고 있다.

그러는 사이 북한이 지난 14일 새벽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문 대통령은 바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서 북한 도발에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보냈다.

이날 회의는 새 정부 인사가 아닌 전 정권에서 임명된 안보 담당 인사들로 이뤄졌다. 얼마나 어색하고 서로 난감했겠는가. 국가 안보에 있어서는 현 정권 전 정권 구분할 필요가 없다 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자리가 장기화 돼서는 안 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으로 인해 외교 안보가 7개월여 공백이 불가피했다. 이런 과정에서 새 정부가 출범했으니 더 이상 외교·안보가 한 치의 방심도 허용해선 안 된다. 북한 김정은 정권의 잇단 도발 행위와 미·일·중·러 국가들의 압박이 더해지고 있다.

엄중한 상황에서 외교·안보 컨트롤타워 구축은 무엇보다 긴요하다. 전 정부 외교·안보 라인으로는 근본적인 대응을 할 수 없다. 전·현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노선 차이가 상당해 엇박자가 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대책도 그중 하나다.

현재까지 한국의 안보는 강력한 한·미 군사동맹과 핵우산을 통해 보장됐다. 미국과 한국의 국익이 분리될 수 없고, 따라서 한·미 관계를 유지하는 것만으로 외교의 역할은 충분하다고 믿었다.

이런 한·미 관계가 사람들의 인식에서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트럼프 정부가 한국이 사드 배치 비용을 부담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재협상을 요구하데서 잘 보여주고 있다.

외교안보 문제를 미국의 경제이익과 결부시키는 상거래 방식으로 접근하고 나선 것이다.

새로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과거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추진 한 ‘햇볕정책’을 지속할 것인지 아니면 문제점을 보완해 다시 실시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그런데 남북간 대화 단절과 개성공단 가동 중단한 정부 안보 책임자들과 북 미사일 발사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모양새다. 이제 어정쩡한 동거는 마감해야 한다. 더 이상 계속된다면 업무 혼란이 커지고 국가안보에 구멍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고 관련 부처 장관을 임명할 수 있는 실정도 못된다. 외교·국방·통일 장관은 헌법상 총리 제청이 필요해 시일이 걸린다.

이낙연 총리 후보자가 이달 말 국회 동의절차를 통과하더라도 총리 제청을 거치면 외교·안보 관련 장관 임명은 내달 중·하순으로 늦춰질 수 있다.

이런 공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는 국가안보실장을 하루빨리 임명해 외교·안보 라인의 공백을 막아야 한다.

청와대는 “검증에 시간이 걸린다”고 했다. 그럴 수도 있다. 먼저 군과 외교관, 학자 등 어느 출신으로 갈 것인지 먼저 정한 후 여기에서 적정한 인물 중심으로 검증을 통해 민주당 정권 정책과 부합한 인물을 내정하면 될 것이다. 문 대통령이 국가안보실의 조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외교안보수석을 없애고 관련 기능을 안보실로 흡수해 통합시켜 급박한 안보위기의 대응체제를 갖추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총체적 난관을 헤쳐나 갈 역량을 가진 국가안보실장을 빠른 시일 내에 임명해 외교 안보 라인에 혼선을 줄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일각에서 지적하고 있는 안보불안을 해소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