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정부, '이산가족 전원상봉' 공약 추진할까
文 정부, '이산가족 전원상봉' 공약 추진할까
  • 김가애 기자
  • 승인 2017.05.14 13: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 대통령 스스로도 '이산가족'
통일부 "실무 자료 준비 계획"

▲ 지난 2004년 7월 금강산 김정숙휴양소에서 열린 제10차 남북이산가족 공동 오찬에서 어머니 강한옥 씨와 함께 북측의 작은 이모 강병옥 씨를 상봉한 문재인 대통령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이산가족 전원 상봉을 추진하겠다는 대선공약이 실천될 지 주목된다.

새 정부가 과거 대북 화해·협력 정책을 편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보인데 따른 기대감이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 스스로가 북한에 친척을 둔 이산가족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사회문화수석이던 2004년 7월 금강산에서 열린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서 북한 흥남이 고향인 어머니 강한옥 씨와 함께 생면부지의 막내 이모를 만난 적이 있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인 지난달 말 발표한 공약집에서 "이산가족 신청자 전원의 상봉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반도 프라이카우프(freikauf)'를 언급하며 북한에 병원을 건립하는 등 인도적 지원과 교환하는 방법으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프라이카우프'란 과거 서독이 동독 내 정치범 송환의 대가로 현금과 현물을 제공한 것이다.

이와함께 이산가족 생사 확인, 서신 교환, 제2면회소 건립 등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매우 분주해졌다.

통일부 관계자는 14일 "남북회담이 재개되면 이산가족 상봉 문제 등이 주요 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산가족 생존자현황 등 실무선에서 필요 자료를 준비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직접 참가한 적도 있어 공약 실행에 한층 적극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2015년 10월을 끝으로 중단됐다.

이후 북한의 핵실험 등 남북관계 경색으로 열리지 못했다.

통일부의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4월말 기준, 이산가족 상봉 신청인 중 생존자는 6만995명이다.

이는 전달보다 327명 줄어든 것으로, 4월 한 달 사이 329명이 사망했다.

전문가들은 생존자 상당수가 고령이기 때문에 인도적인 차원에서 이산가족 상봉 재개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국면에서 당장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추진하는 것은 무리라는 의견도 나온다.

[신아일보] 김가애 기자 gakim@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