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칼럼] 제4차 산업혁명, 공간정보서비스 혁신 앞당긴다
[기고칼럼] 제4차 산업혁명, 공간정보서비스 혁신 앞당긴다
  • 신아일보
  • 승인 2017.03.12 15: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순태 한국국토정보공사(LX) 공간정보사업본부장
 

KTX 개통의 최대 수혜자는 누구일까. 내 집을 어느 지역에 마련해야 가장 수익이 높을까. 정답은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공간정보의 융·복합에서 찾을 수 있다.

공간정보란 지도 및 지도 위에 표현이 가능한 위치, 분포 등을 알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지리적 정보를 비롯하여, 경작지의 경계나 농작물의 현황 같은 재산관계 대한 정보, 물이나 초목의 위치 상태와 같은 자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최근 공간정보산업은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예고하는 신(新)산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정부 또한 공공성 있는 정보를 적극 개방 및 공유하고자 정부 3.0을 통해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면서 공간정보 기반 구축에 내실을 다지고 있다.

과거의 공간정보는 수치지도, 지적도, 3차원지도 등의 공간정보를 수집, 가공하는 것이 전부였기에 국민들이 체감하는 공간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는 미흡했다.

하지만 이제는 흩어진 공간정보를 통합하고 가공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실제로 공간정보는 독립적인 산업영역이 아닌 타 분야와의 융·복합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시·공간적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인문사회 분야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대국민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이처럼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기술혁신으로 우리 모두는 제4차 산업혁명을 목도하고 있다. 특히 로봇·빅데이터·인공지능·3D프린팅 등 최첨단 기술이 눈부신 속도로 제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고 있으며, 사람·사물·공간 등이 서로 연결되면서 과거·현재·미래의 공간정보 산업을 잇는 연결고리가 되고 있다.

이에 한국국토정보공사(LX)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사명을 변경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최고의 국토정보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공간정보·지적제도의 연구개발 및 지적측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도 4차 산업혁명의 퍼스트 무버가 되기 위해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늘리고,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과 같은 신산업 개발·육성을 위해 규제 완화에 나서고 있다. 지금이 미래 성장 동력의 기반을 마련할 골든타임이기 때문이다.

가장 선행돼야 할 과제는 질 좋은 공간정보 확보다. 단일 정보가 아닌 다양한 공간정보와 기술이 융합 돼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공간정보가 제공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보생산주체에 따라 특성이 다른 공간정보의 품질관리기준을 하나로 표준화하는 일이 선행돼야 할 것이다.

공사는 나아가 국토교통부가 관리하고 있는 115개 기관, 1만여 공간정보 관련 데이터를 연계·가공해 신뢰성이 높고 공유·개방·협업 등이 가능한 체계로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공간정보’, ‘국가 정책과 의사결정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 그리고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공간정보’를 목표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최고의 국토정보 전문기관이 되고자 한다. 

/김순태 한국국토정보공사(LX) 공간정보사업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