潘 주축 ‘제3지대’ 연대론 힘빠지나… 金·孫·鄭 ‘거리두기’
潘 주축 ‘제3지대’ 연대론 힘빠지나… 金·孫·鄭 ‘거리두기’
  • 김가애 기자
  • 승인 2017.01.19 16: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지원·김종인·손학규 반기문에 비판적… 유승민도 제3지대론에 부정적
鄭출판기념회에 朴참석해 ‘러브콜’… 孫 ‘국민주권’ 출범식엔 朴·金 출동
▲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가 19일 오후 국회 본청 의원식당에서 열린 정책위원회 연찬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정계개편을 추동해 온 제3지대 그룹이 당초 연대의 대상으로 지목해 온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바른정당의 대선주자인 유승민 의원이 제3지대론에 부정적인 태도로 돌아선 점도 변수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주목할 점은 제3지대 플랫폼을 자처하는 국민의당, 개헌을 고리로 정계개편론을 모색해온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반 전 사무총장과 일정한 선을 긋고 있다.

이는 반 전 총장이 이념적 정체성을 범여권에 두고 결국 보수를 택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 반 전 총장이 정계개편의 핵심고리인 ‘대선 전 개헌’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는 연일 반 전 사무총장에게 집중포화를 퍼붓고 있다.

박지원 대표는 19일 PBC라디오에 출연해 “반 전 총장은 준비 안 된 대통령 후보로서, 우리와 함께하기에는 정체성에서 완전히 거리가 멀다”고 밝혔다.

이어 “실패한 이명박·박근혜 정권의 뒤를 잇는 것 같은 발언을 계속해 엄청난 실망을 주고 있다”며 “위트로 넘길 수 있는 문제도 사사건건 기자들에게 ‘X’를 붙인다든지 이런 것은 진짜 준비가 안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융통성이 있다”여지를 두기도 했다.

하지만 일관된 비판 메시지를 연일 발신한다는 점에서 그에 대한 기대를 접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손 전 대표와 김 전 대표도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을 것이란 얘기가 정치권 안팎에서 흘러나온다.

김 전 대표는 전날 반 전 총장에 대해 “별로 매력을 못 주는 것 같다”고 했고 손 전 대표 역시 “수구세력에 얹혀 뭘 하려 한다면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반 전 사무총장의 귀국을 매개로 했던 제3지대론이 사그라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제3지대론자들의 새로운 합종연횡 움직임도 관측되고 있다.

손 전 대표는 오는 22일 정치권 새판짜기에 시동을 거는 국민주권개혁회의 출범을 알리는데, 여기에 박 대표와 김 전 대표가 함께 참석한다.

▲ 정운찬 전 국무총리(오른쪽)가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우리가 가야 할 나라, 동반성장이 답이다.' 자신의 출판기념회에서 앉아있다.(사진=박영훈 기자)
아울러 정운찬 전 국무총리는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출판기념회를 열고 사실상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그는 “저는 대한민국을 동반성장국가로 만들기 위해 저의 모든 것을 던지겠다. 어떤 희생도 감수할 각오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 위에 군림하는 정부, 국민이 배제된 정치·경제·사회구조를 바꾸자”며 “그래서 시대교체를 하자”고 강조했다.

정 전 총리는 트레이드마크인 ‘동반성장’이라는 가치만 지켜지면 기존 세력과의 연대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어 제3지대 합류 가능성이 거론되는 상황이다.

정 전 총리는 반 전 사무총장을 대체해 충청 맹주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이날  출판기념회에는 박 대표가 참석했다.

박 대표는 이날 정운찬 전 총리를 향해 “반드시 우리 국민의당에 오셔서 꼭 한 번 (당내 후보들과) 겨뤄봤으면 좋겠다”고 러브콜을 보냈다.

이어 박 대표는 “정 전 총리의 동반 경제성장과 국민의당의 공정성장은 맥을 같이 한다”라며 “어떤 사람은 닫혀 있고 어떤 당은 닫혀 있다. 정 전 총리는 열려있는 분이고 우리 국민의당도 열린 정당”이라고 발언하면서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민주당을 우회 비판하며 거듭 정 전 총리의 합류를 요청했다.

이같이 제3지대론자들의 반 전 총장에 대한 비판 메시지가 이어짐과 동시에 제3지대 정계개편 논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신아일보] 김가애 기자 gakim@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