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구설'로 낙마 뒤 1년 안돼 복귀…외교경험 부족 지적도
김 전 실장은 올 상반기 있을 외교부 정기공관장 인사 때 정식으로 주중대사에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실장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23년 가까이 만에 처음으로 군 출신으로 중국 대사를 맡게 됐다.
정부는 중국과의 협력 중요성을 감안해 중량급 인사를 배치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과 김 내정자가 국방부 장관과 안보실장을 역임해 안보 분야에 전문적 식견이 있고 중국의 주요 인사와 접촉경험이 풍부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김 전 실장을 주중대사로 발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과 한반도 정세에서 중국의 비중을 감안, 현 정부 핵심실세였던 중량급 인사를 주중대사에 배치한 것으로도 전해졌다.
김 전 실장은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의 남북정상회담 당시 국방장관으로서 김정일과 악수하며 다른 사람과 달리 고개를 숙이지 않은 뒤 '꼿꼿 장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김 전 실장은 작년 5월 전격적으로 물러난 뒤 1년도 안돼 다시 우리 외교의 핵심 포스트인 중국대사로 복귀하게 됐다.
이를 두고 그에 대한 박근혜 대통령의 여전히 두터운 신임을 확인하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김 전 실장은 2012년 대선 당시 새누리당 대선캠프인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국방안보추진단장을 맡았고, 이후 외교·국방·통일 분과위 간사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활동에 참여한 뒤 현 정부 출범 후 초대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사령탑으로 임명돼 지난해 물러날 때까지 외교안보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다.
그러나 세월호 사건 직후 청와대 국가안보실 위기관리센터가 초동대처를 잘 못했다는 언론 지적에 대해 "위기관리센터는 재난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는 반박성 해명을 내놓으면서 '책임회피 논란'의 중심에 선 끝에 물러났다.
이에따라 현직에서 물러난 지 1년도 안된 김 전 실장의 내정을 놓고 야권 등에서 논란이 제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김 전 실장이 국방 분야의 전문가이나 외교 분야에선 경험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어 미국과 함께 주요2개국(G2)로 떠오른 중국 대사직 수행 적임 여부도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이번 정기공관장 인사에서 주러시아 대사도 교체할 것으로 전해졌다. 위성락 현 주러대사 후임으로는 외교부 고위 간부가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러시아 대사가 공식 임명되면 박근혜 정부 출범시 임명됐던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변 주요 4국 대사 중 안호영 주미대사만 그대로 자리를 지키게 된다.
[신아일보] 전호정 기자 jhj@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