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국정감사] 국내 항공 중정비 기술 빈약… 정부 대책 수년 째 논의만
[2014 국정감사] 국내 항공 중정비 기술 빈약… 정부 대책 수년 째 논의만
  • 김기룡 기자
  • 승인 2014.10.17 1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년간 항공 정비비용 2조 5800억원 해외 지불
지난해 국내항공사 해외 정비비용 7562억원
▲ 김태원 의원

[신아일보=김기룡 기자] 최근 5년간 항공정비(MRO 정비Maintenance, 수리Repair, 분해조립Overhaul)관련 비용으로 2조 5800억원을 해외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김태원 의원(새누리당, 덕양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항공운송분야는 세계 6위임에도 항공정비 분야는 국내에 체계적인 인프라가 없어 해외로 지불하는 비용이 2009년 3960억원, 2010년 4070억원, 2011년 4290억원, 2012년 5940억원, 2013년 7562억원 등 외주비용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8개 항공사 중 대한항공과 진에어(자회사)만 자체정비가 가능하고 나머지 6개 항공사는 일부정비를 제외하고 중요정비는 해외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지난해 국내 국적항공사의 외주정비 현황을 보면 대한항공(진에어 포함) 2220억원, 아시아나항공(에어부산 포함) 4180억원, 제주항공 504억원, 이스타항공 359억원, 티웨이항공 232억원, 에어인천 77억원 등 총 756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태원 의원은 “국내 항공정비산업의 구조적인 문제는 항공사 자체 정비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기술축적 기반이 약하고 정부주도의 체계적인 육성대책이 없었던데 주요 원인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외국의 경우, 싱가포르는 중추공항을 활용해 정비단지조성 등 정부의 지원정책으로 세계시장의 6%, 아시아권 25%를 점유하고 있고, 중국은 부족한 기술력을 해외 항공정비업체와 손잡고 관문공항을 중심으로 해외물량을 수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항공정비 산업의 기술력확보와 경제적 가치를 고려해볼 때 정부가 주도적으로 MRO산업을 적극 지원과 육성해야 하는데 문제는 수년 동안 진척 없이 논의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항공정비(MRO)산업은 항공기 안전사고와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며 기술력확보·외화획득·일자리창출 등 국가적 주요사업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체계적으로 적극 추진해야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