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아르헨티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
  • 주영준 기자
  • 승인 2014.07.31 09: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01년에 이어 13년만에 또다시
▲ 30일(현지시간) 악셀 키실로프 아르헨티나 재무장관이 취재진에 둘러싸여 있다.(사진=연합뉴스)

아르헨티나가 지난 2001년에 이어 13년만에 또다시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맞았다.

아르헨티나 정부 대표단과 미국 헤지펀드 채권단이 뉴욕에서 벌인 이틀간의 막판 채무상환 협상은 30일(현지시간) 아무런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고 AP통신, AFP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이에 따라 아르헨티나는 극적 타결이 없는 한 이날 자정(한국시간 31일 오후 1시)부터 '디폴트'에 빠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악셀 키실로프 아르헨티나 재무장관은 협상 후 기자들과 만나 "아르헨티나는 미국 헤지펀드들이 주도한 채권자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키실로프 장관은 채권단이 아르헨티나가 제안한 타협안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비난하면서도 "아르헨티나는 대화하고 합의를 이룰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키실로프 장관은 이날 중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르헨티나 대표단은 15억달러(1조5천382억원) 규모의 채무 전액 상환을 요구하고 있는 2개 헤지펀드 채권단과 이틀째 협상을 벌여왔다.

아르헨티나는 지난 2001∼2002년 당시 약 1천억달러의 부채에 대해 디폴트를 선언한 후 채권단과 협상을 벌여 채무 조정에 합의했으나, 당시 협상에 참여하지 않았던 이들 헤지펀드는 전액 상환을 요구해왔다.

이번 협상의 중개인인 대니얼 폴락도 발표문을 내고 "아르헨티나가 디폴트에 빠지는 상황이 임박했다"며 말했다.

폴락은 "디폴트는 단순한 기술적 상황이 아니며, 많은 사람을 아프게 하는 실제적이고 고통스러운 사건"이라며 "궁극적인 피해자는 아르헨티나의 평범한 시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협상은 미국 뉴욕 맨해튼 연방지방법원이 아르헨티나 정부에 대해 15억달러를 헤지펀드에 상환하라고 명령, 헤지펀드의 손을 들어주면서 본격화됐다.

아르헨티나와 헤지펀드들은 지난 6월부터 뉴욕에서 채무상환 협상을 벌여왔으나 모두 결렬됐다.

경제 전문가들은 남미 3대 경제대국인 아르헨티나가 디폴트에 빠지면서 세계 경제에 파장이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아르헨티나 채무위기의 영향은 최소한의 수준에 머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