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안철수호, 게센 풍랑에 "휘청"
김한길-안철수호, 게센 풍랑에 "휘청"
  • 주영준 기자
  • 승인 2014.07.31 00: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보선 어이없는 참패로 책임론 일어

새정치민주연합의 김한길-안철수호가 휘청거리게 됐다.

7·30 재·보선에서 '11대 4'라는 어이없는 참패를 당하면서 책임론이 거세게 불어닥칠 전망이다.

수도권에서 수원정(영통) 1곳만 건지는 참패의 악몽이 현실화된 것은 물론 전남 순천·곡성 패배로 '철옹성'과도 같았던 텃밭마저 허무하게 무너지며 당 전체에 충격파를 안기면서다. 안철수 공동대표가 "5곳 현상유지만 해도 잘 하는 선거"라며 제시했던 '최저 방어선'마저 붕괴된 것이다.

공천파동으로 리더십의 중대 위기에 처했던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선거 패배 책임론의 한가운데 서면서 조기전대 주장이 확산될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계파간 정면충돌로 거센 쓰나미가 몰아닥칠 전망이다.

지난 3월 야권통합으로 출범한 김·안 투톱 체제는 '풍전등화'의 처지로 추락하면서 야권의 전면적 세력지형 재편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김·안 대표는 6·4 지방선거에서 '어정쩡한 무승부'로 한 숨을 돌렸지만 그 연장전 격으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완패', 그야말로 벼랑 끝으로 몰리게 됐다.

더욱이 세월호 참사 이후의 거듭된 정부의 인사 실패와 유병언 사망 의혹 등 야권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음에도 불구, 공천실패의 '블랙홀'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사이 패배를 자초했다는 따가운 당내 여론을 피해가기는 어려워 보인다.

특히 안 대표는 정치생명에 큰 생채기를 입으며 당내 입지가 급속도로 위축되는 차원을 넘어 대권가도에도 '빨간불'이 켜지게 됐다.

'박원순 키드'인 기동민 전 후보의 서울 동작을 '내려꽂기'에서부터 권은희 의원의 광주 광산을 투입, 기 전 후보의 사퇴 사태에 이르기까지 잡음이 끊이지 않으면서 이미 내부갈등은 곪을대로 곪은 채 위험수위로 치달은 상태였다.

'최적최강 후보론'을 내세운 두 대표의 전략공천이 '신의 한 수'는 커녕 '최악의 수'로 귀결된데다 제1야당으로서 후보조차 내지 못한 서울 동작을에서 야권단일후보인 정의당 노회찬 후보가 패배하며 전략부재와 공천실패 논란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이번 선거 패배를 계기로 당내에서는 "올 것이 왔다"며 전운이 고조되는 분위기이다.

친노(친노무현)·486·정세균계 등 '변방'으로 밀려났던 구주류 그룹이 두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며 '비대위 체제 전환 후 조기전대론' 카드를 꺼내들 태세다.

이 때문에 잠시 '휴화산' 상태였던 계파갈등의 뇌관이 폭발, 차기 당권을 염두에 둔 권력투쟁이 조기에 점화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통합 이후 공석 상태였던 지역위원장 선출 작업에서부터 계파간 격돌이 예상된다.

당장 구주류 강경파 의원 모임인 '혁신모임'과 정세균계 등은 31일 각각 회동, 향후 대책을 논의키로 하는 등 계파별로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구주류 그룹은 당내 입지 강화를 시도하며 대대적인 당내 주도세력교체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한 강경파 구주류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통합 이후 누적돼온 두 대표의 비민주적 당 운영 스타일이 선거 참패라는 최악의 결과를 안긴 만큼, 전면적 당 재건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임기 2년의 차기 당 대표는 2016년 총선 공천권 등 막강한 권한을 갖게 돼 차기 당권을 둘러싸고 계파간 양보없는 주도권 다툼이 불가피해 보인다. 친노의 좌장격인 문재인 의원 등 대선주자급이 직접 '선수'로 나설 경우 차기 당권경쟁은 대권경쟁이 전초전 양상을 띨 수도 있다.

다만 수원병(팔달)에 출마, 수원 '3각 벨트'를 이끌었던 손학규 상임고문과 경기 김포에 출전했던 김두관 전 경남지사는 '여의도 생환'에 실패하면서 당분간 재기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계파간 '희비'도 엇갈렸다. 손학규계로 분류됐던 경기 평택을 정장선 후보와 친노계의 서갑원 전남 순천·곡성 후보, 조한기 충남 서산·태안의 조한기 후보는 쓴 잔을 마신 반면 김 대표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박광온 수원정 후보는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승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