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논제는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파악해야
(12) 논제는 다각도에서 입체적으로 파악해야
  • 주장환 작가·순회특파원
  • 승인 2014.05.22 1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빈치의 논술 접근법 - 핵심을 파악하라 ④

 

용어 제대로 알고 주제 이끌어야 오류적어

다빈치는 두 가지 비행방법을 구상했다. 하나는 날개를 몸에 달고 새처럼 날개를 흔들어서 나는 비행방법이었다. 다른 하나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해 구상한 것으로 하늘로 올라가는 현재의 헬리콥터식 비행방법이었다.

뛰어난 예술가답게 그는 스케치로 아름답고 정교한 모양의 모형을 설계하고 시험하였다. 그의 낙하산 설계도와 자동차 설계도는 500여 년이 지난 최근 미국과 이탈리아의 실험 팀에 의해 재현되기도 했다.

당시 그의 착상은 현대 항공기 구조의 근본원리와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의 천재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런 위대한 사고를 하게 된 배경에는 열성스러운 호기심과 상상력이 있었던 것이다.

다빈치는 궁금증이 생기면 가설을 끌어내고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풀어 나갔다.

‘질의로 주제를 끌어내었던’것이다. 그림이나 글을 강조하거나 자르고 첨가한 그의 노트를 보면, 글과 소묘들이 다빈치의 가설을 태우고 나르는 비행선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질의를 통해 주제를 끌어내려면 제시된 문제에서 동일한 현상이 있는지 생각해 보고, 비슷한 내용이 있다면 그에 대한 질문도 병행하면 좋다.

‘노무현대통령은 한국이 동북아균형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무슨 의미인가?’ 하는 등의 질문을 먼저 던져 놓고 첫머리를 이끌어 나가는 방법이다. 그리고 꼬리를 물고 의문을 이어가는 것이다.

의문의 속성은 고구마넝쿨처럼 땅바닥을 따라 벋으면서 뿌리를 내린다는데 있다. 이런 식의 질문은 흥미를 자아내고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확실하게 보여준다.

이 때 동서고금의 명언? 격언? 역사적 사건? 고사(故事)등을 인용하면 좋다. 예를 들어보자.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라고 공자는 말했다.‘수신’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그리고 치국이란 무엇이고 평천하는 무슨 의미인가’하는 식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다.

스스로 글의 제재에 대하여 충분히 알지 못하거나 편견에 빠져 논리적인 오류를 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글을 쓰기에 앞서 자신이 글을 서술하려는 의미와 목적, 그리고 글의 체재(體裁) 등을 비판적으로 생각해보아야 한다.

그런 다음 글이 완성되면 글의 구성은 적절한가, 제시하는 의견이 객관적이고 설득력이 있는가, 설명은 의도가 잘 포함되어 구체성을 띠고 있는가 등을 따져 보아야 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앞서 논제를 그대로 수용하기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과감히 적용하여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석해야 한다.

한마디로 논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깊고 넓게 파악해야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자신이 쓸 내용이 무엇인지 그것과 관련된 용어를 정확히 알아야한다.

다빈치는 어휘의 정의를 노트에다 빽빽하게 기록해 놓았다. 용어를 제대로 알지 못하면서 주제를 이끌어 나가는 것은‘장님 문고리잡기’에 다름 아니다.

질량과 무게, 묘사와 설명, 기능과 기술 등의 뜻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결국 오류투성이의 글을 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