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곳곳 '소나무 재선충병'과 전쟁중
전국 곳곳 '소나무 재선충병'과 전쟁중
  • 김가애 기자
  • 승인 2014.05.19 1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나무재선충병' 보존가치 높은 희귀 소나무까지 '위협'

'소나무에이즈'에 올 4월까지 218만그루 고사
산림청·지자체, 확산 우려… 긴급 방제 나서

전국은 지금 소나무재선충병과 전쟁중이다.

'소나무에이즈'로 불리는 소나무재선충병이 확산될 우려가 커지고 있기 떄문이다.

최근 산림당국은 올봄 이상고온현상으로 소나무재선충병을 옮기는 매개충 활동이 예년에 비해 10여일 이상 빨라짐에 따라 추가적인 피해확산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4월까지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돼 고사한 소나무 218만 그루를 올 4월까지 모두 제거했다고 산림청은 밝혔다.

소나무고사목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하고 매개충 방제가 늦어질 경우 피해가 급격히 확산될 뿐만 아니라 재선충병 관리가 불가능한 상황까지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산림청은 5월부터 전국 79개 지자체 약 8만ha의 면적에 집중적으로 항공방제에 들어갔다. 항공방제는 8월말까지 실시해 매개충 밀도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산림청은 또 피해상황을 '극심'부터 '경미'까지 총 5단계로 구분해 지역별로 항공방제와 지상방제 등 맞춤형 방제를 실시키로 했다.

항공방제는 매개충이 활동을 시작해 건전한 소나무로 재선충병을 전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한 살충작업이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방제 횟수를 확대하고, 주택가 등 약제 살포로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은 항공방제 대신 지상방제로 대체할 계획이다.

또한 피해가 심한 지역은 수종갱신을 유도하고, 일반 지역은 외곽부터 중심부로 압축방제를 실시해 피해면적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솔나무하늘소.

◇전국 79개 기초 지자체 약 8만ha 이달부터 집중방제

■ 경기 남양주 - 마이산 일원 20ha 7월말까지 집중 방제

경기 남양주시는 4월 30일 1차 항공방제를 실시한 데 이어 2~3주 간격으로 오는 7월말까지 5차례에 걸쳐 항공방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충북 음성군은 지난 5월1일과 13일 소나무재선충병 확산방지를 위한 항공방제를 실시한 데 이어, 오는 27일 방제를 실시한다. 대상은 삼성면 마이산 일원 대사리, 양덕리, 대야리, 용대리 20ha다. 
/정원영 기자 wonyoung55@daum.net

■ 전남 광양시 - 진상면 금이리 등 80ha 3개월간 중복 방제

전남 광양시는 지난 17일부터 오는 7월11일까지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실시한다.

방제대상 지역은 광양읍 세풍리·덕례리, 진상면 금이리 등 소나무 재선충병 집단발생지와 선단지 및 확산우려지 80ha다.

일정은 5월 17일 1차를 시작으로, 5월 31일, 6월 6일, 6월27일, 7월11일 5차례에 걸쳐 중복방제를 실시한다.
/김청수 기자 cskim@shinailbo.co.kr

■ 경북 경산 - 7월25일까지 5회 항공방제 실시

경북 경산시는 오는 7월25일까지 2주 간격으로 총 5회에 걸쳐 항공방제를 실시한다. 방제지역은 남산면 조곡·연하·사림·송내·우검리의 일부 소나무림으로 170ha을 방제 한다.

경북 경산시는 오는 7월25일까지 2주 간격으로 총 5회에 걸쳐 항공방제를 실시한다. 방제지역은 남산면 조곡·연하·사림·송내·우검리의 일부 소나무림으로 170ha을 방제 한다.
/김상현 기자 shk4381@naver.com

■ 울산 중구·울주 - 중구 3년새 1만5500그루가 잘려나가

울산의 중구지역은 2011년 2300여 그루, 2012년 3300여 그루, 지난해 9900여 그루의 소나무가 재선충병 방제를 위해 잘려나갔다.

19일 울산중구청에 따르면 올해도 지상방제만 시행하게 됐다. 올 들어 처음으로 항공방제를 추진했지만 축산농가와 일부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르면서 항공방제를 포기했다.

매년 방제 범위는 늘어가고 있지만 중구지역에서는 단 한차례도 항공방제가 이뤄지지 않았다.

다른 지자체와 달리 중구의 경우 대부분이 도심지역인데다 산림 곳곳에 경작지나 농장 등이 있어 항공방제가 여의치 않았던 것.

그러나 지난해 고사목이 크게 늘어나는 등 재선충병이 확산 추세를 보이자 중구는 올해 처음으로 항공방제를 실시하기 위해 고시공고를 내고, 주민센터 등에 공문을 발송했다.

이 같은 공문이 전해지자 축산·양봉농가와 주민들의 민원이 잇따랐다. 가축과 주민들의 건강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중구는 항공방제 계획을 철회하고 예년과 마찬가지로 지상방제를 진행하기로 했다.

울산시 울주군은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3일간 항공방제를 실시했다.

오는 30일과 다음달 1일, 울주군 온산읍 덕신리 일원 227ha, 온양읍 망양리 150ha, 청량면 동천리 26ha, 서생면 위양·화정리 197ha 등 600ha 산림을 대상으로 2차 방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또 8월 초까지 15일 간격으로 4회를 추가 실시한다.  
/경남취재본부

▲ 남해 소나무 재선충 항공방제 모습.

■경남 고성·남해·함안·밀양 - 남해 피해목 6410주 제거작업 중

경남 고성군은 오는 20일, 6월 3일, 6월 16~20일, 6월 30일~7월 4일, 7월 21일~25일 총 5차례 걸쳐 중복 방제를 실시한다. 대상지는 영현면 영부리, 침점리, 신분리 일대 소나무류 140ha다. 방제 대상지는 화도읍 가곡리, 묵현리, 녹촌리, 오남읍 팔현리, 수동면 운수리 일대 소나무 및 잣나무림 160ha로, 오전 6시부터 오전 12시까지 실시된다.

경남 남해군은 이동면 석평리 일대 200ha 산림에 오는 20일을 시작으로, 7월 말까지 총 5차례에 걸쳐 항공방제를 실시할 계획이다. 남해군은 항공방제 외에도 예방나무주사 70ha, 지상방제 30ha, 피해목 제거 6,410주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경남 함안군은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예방을 위해 오는 20일부터 7월 말까지 5차례에 걸쳐 산인면 운곡리ㆍ부봉리, 대산면 옥렬리, 가야읍 산서리 일원에 항공방제 120ha와 칠원면 오곡리 일원에 지상방제 6㏊를 실시한다..

경남 밀양시는 오는 20일부터 7월 25일까지 5차례 걸쳐 항공방제를 실시한다. 오전 6시부터 낮12시까지 진행되는 항공방제는 산외면 다죽리 등 21개리 2개동 총 4000㏊에 실시된다. 오는 20일∼23일, 6월 3일∼6일, 6월 16일∼20일, 6월 30일∼7월 4일, 7월 21일∼25일에 실시한다.
/김기병 기자 gbkim@shinailbo.co.kr

■ 강원 춘천·정선 - 소나무 재선충병 피해확산 총력 대응

강원도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의 우화시기에 맞춰 지난 4월29일부터 오는 7월까지 재선충병의 피해확산 차단을 위한 항공방제를 실시한다.

이번 항공방제는 도내 재선충병 발생지인 춘천시 동산면 원창·봉명리 일원 460㏊와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일원 100㏊의 산림에 15일 간격으로 총 6회 방제를 하며 오전 5시부터 11시 사이에 실시한다.이에 해당지역 주민들에게 흰색 또는 빨간색 깃발이 설치된 항공방제구역의 출입 자제하고 양봉농가 벌통 안전지대 이동 및 방봉 금지, 장독대·급수시설 뚜껑·창문 개방금지 등 안전조치를 당부했다.
/김상태 기자 tngus0983@hanmail.net 

 

▲ 재선충으로 고사한 소나무들이 컨테이너에 쌓여 있다.

<방제시 주의할 점> 항공방제지역 벌통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해야

산림청의 헬기를 지원받아 실시하는 각 지역의 항공방제작업은 비, 바람, 안개 등 기상여건에 따라 방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날짜나 장소 등 사전에 확인해 주의를 기울여야한다.

항공방제에 사용되는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10%'약제는 저독성 농약으로 인체나 가축에는 피해가 없지만 항공방제로 인한 다른 산업에 피해가 우려되므로 살포지역 및 인근 주민들에게는 주의가 요구된다.

방제 당일에는 등산을 삼가고, 약수터 물은 마시지 말아야한다. 그리고 벌통은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거나 약제 살포 당일 오전에 방봉을 금지해야 한다. 또한 양잠 및 목축 농가는 뽕잎과 가축사료를 사전에 비축하고 약제 살포 당일은 가급적 방목을 금지해야 한다.

양어장은 급수를 일시 중단해 어류에 대한 보호조치를 해야 하고, 방공방제 지역 및 인접지역은 장독대와 우물 뚜껑을 닫고, 산나물 등의 피해가 없도록 사전예방에 총력을 기울여야한다.

종합정리/김가애 기자 bsbfor2@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