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학이 살아야 지역도 산다
지방대학이 살아야 지역도 산다
  • 신아일보
  • 승인 2013.07.28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기관들 정부시책에 적극 앞장서야
전문성 있는 학과개설등 차별화도 필요

지난해 공공기관 8곳 중 1곳이 지방대 출신을 단 1명도 합격시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지방 살리기 정책이 구두선에 지나지 않았다.
최근 공개된 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지난해 295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인원수는 7561명으로 전체 신규채용 인원인 1만4864명 중 50.9%를 차지했다. 이는 200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획재정부가 공공기관 지방대 채용 가이드라인으로 설정한 30%를 충족하지 못하는 공공기관은 127곳으로 전체 공공기관의 43%에 달했다.
특히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등 41곳은 지난해 신규 채용에서 비수도권 인재를 1명도 뽑지 않았다.
지방대생 취업난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우수한 지방대생이 서울·수도권 대학생에 비해 취업시장에서 인정을 못 받고 좌절하는 사례는 많았다. 그러기 때문에 공공기관이 먼저 솔선수범해 지방인재 채용 배려는 지역균형 개발 차원에서도 선행돼야 한다.
교육부는 공직 5급은 20%이상을 지방대생으로 별도 선발하고 공공기관이 대졸자를 채용할 때는 인원의 30%이상을 지방대생으로 할당해 충원하는 내용 등을 담은 ‘지방대학 육성법’을 제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정부가 지방대생 채용을 확대 시행하겠다고 나선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중요한 것은 법률 제정에 앞서 공공기관들이 정부 시책에 앞장서야 한다. 그래야 민간 기업들도 지역 인재 육성과 채용에 적극 나설 것이다.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에 대한 적극적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국가 발전의 장기적 관점에서 지방대 육성은 꼭 이뤄져야 한다.
다행히 지방인재를 위한 취업인프라는 점점 나아지고 있다. 참여정부 때 추진한 지방 혁신도시에는 부처 산하 공공기관들이 속속 입주하고 있고, 새 정부도 지방 중시 정책을 펴고 있다.
박근혜 정부는 강력한 국가균형발전 정책을 천명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지난 3월 교육부 ‘2013년 국정과제 실천계획’보고에서 “지방대 출신 채용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필요하다”며 “공공기관이 지역인재 채용 기준에 미달하는 경우 철저한 점검을 통해 기준을 채우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지방대가 살아야 지역도 산다. 지방대가 직면한 문제를 간과하면 고등교육의 발전도 기대하기 힘들다.
지방에 소재한 대학이 서울, 수도권에 있는 대학보다 많다. 지방대학을 나와도 취업 문턱을 넘는 데 어려움이 없는 풍토를 만들어 유능한 학생이 지방대에 진학하고 그래야 지역도 발전한다.
그동안 지방대학들은 구조개혁 평가 지표 가운데 취업률이 15%이상 반영되기 때문에 취업률을 올리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해 왔다. 지방대학들도 단순한 취업률 수치 올리기보다는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앞으로 실질적인 능력을 감안해 신입사원을 뽑는 만큼 이에 맞는 맞춤식 취업지도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지방대만의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전문성 있는 학과의 개설등 차별화를 갖도록 하는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
지방대학은 지역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 지방 대학의 기반 약화는 지역 경쟁력뿐 아니라 국가균형발전을 저해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