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규모 1000조원 육박
가계부채 규모 1000조원 육박
  • 박재연 기자
  • 승인 2013.07.03 17: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소득층·자영업자 비은행권 대출 위험

 가계부채 규모가 1000조원에 육박했다. 그나마 지난 10년간 8% 안팎으로 이어져 온 높은 증가세는 다소 주춤한 상태다.
하지만 저소득과 고령층, 자영업자의 제2금융권 대출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잠재 위험요인으로 분석된다.
3일 금융위원회가 가계부채 청문회에 앞서 국회에 제출한 보고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가계부채의 규모는 961조6000억원이다.
지난해 말(963조8000억원)에 비해 0.2%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2003년 472조10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년새 2배 이상 불어난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난 2011년 6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추진한 이후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둔화되고 대출구조도 개선돼 가계부채가 사회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될 우려가 크게 완화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은행권의 고정금리·비거치식 대출이 확대되고 원금 상환 중인 대출 비중도 늘어나는 등 대출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신호가 보이고 있다.
2010년말 전체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의 비중은 5.1%였지만 지난 5월말에는 그 비중이 22.4%까지 높아졌고, 원금상환 중인 대출의 비중도 20.5%에서 26.8%로 증가했다.
또, 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소득 4~5분위의 고소득 차주가 전체 가계부채의 71.0%를 보유하고 있어 가계부채가 금융사 부실로 전이될 위험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 금융위의 판단이다.
이들보다 소득수준이 낮은 1~3분위의 가계부채 보유 비율은 28.9%이다.
다만, 경기회복 개선이 지연된 경우 저소득층이나 고령층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금융위는 보고 있다.
가장 낮은 소득 수준인 1분위 계층의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184, 50대는 207, 60대 이상의 비율은 253으로 다른 소득계층과 연령대에 비해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해말 기준 322만명으로 추산되는 다중채무자 중 저소득층(연소득 3000만원 이하)의 비율이 30%대에서 43.9%까지 증가해 잠재적 부실 위험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 관계자는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범정부 차원의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며 “개별 대출자가 처한 상황을 고려해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