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차 산업화로 농촌 창조경제 기틀 마련
6차 산업화로 농촌 창조경제 기틀 마련
  • 박 금 수/농어촌공사 함평지사장
  • 승인 2013.06.06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 정부는 ‘농림축산업의 미래성장 산업화’를 표방하고, 주요 추진계획의 하나로 ‘농식품의 6차산업화’를 제시했다. 즉, 농업의 생산과 연계해 유통·가공·외식·관광 등 2·3차 산업을 활성화해 농촌지역의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6차 산업화 촉진을 위한 규제완화로 가공·향토산업을 육성해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관광·체험 등 3차 산업화해 농촌관광·체험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이다.
‘6차 산업화’는 1차 산업에 종사하는 농림어업자가 직접 가공이나 판매에 나서서 자신들이 만든 농산물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소득을 높여 나가는 것이 기본적인 활동이다.
즉, 농업의 생산, 가공, 서비스의 단순한 집합으로(1차+2차+3차산업=6차산업)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들 산업의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융복합화(1차×2차×3차산업=6차산업)를 의미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농업은 시장개방의 진전속에서 농업생산의 축소과정을 겪고 있으며 도농간 소득격차와 농업 내부의 계층간 소득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지나친 소득 격차 확대를 회피하기 위해서 영세규모이거나 고령자, 여성이 중심이고 지역적으로는 조건이 불리한 지역에 입지하는 농가들의 활로를 찾아내는 것이 긴급한 과제이다.
6차 산업화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첫째, 농업도 손익을 따져 보는 경영마인드가 있어야 한다. 농업을 하나의 기업활동으로 변할 때 부와 일자리가 만들어지는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다.
둘째, 향토자원을 발굴해야 한다. 소중한 향토자원들을 많이 발굴하고 현대에 맞게 발전시켜 활용한다면,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상품일 것이다.
셋째, 농촌의 공동체 기능을 복원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우리 농촌이나 마을이 갖고 있던 아름다운 공동체 기능이 산업화 과정에서 많이 훼손됐다. 이웃과 협동하고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기능이 되살아 날 때, 6차산업화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시몬 쿠즈네츠는 “공업발전을 통해 중진국까지는 도약할 수 있어도 농업·농촌의 균형발전 없이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농업은 더 이상 경쟁력을 잃은 애물단지가 아니라 21세기 가장 중요한 부의 원천이 될 생명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
두꺼운 보호막속에 안주했던 농업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키울 수 있도록 다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