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총선 이후 당내 변화 불가피
한, 총선 이후 당내 변화 불가피
  • 신아일보
  • 승인 2008.04.05 19: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권·당권 장악 경쟁 따라 당내외 위상 변화 커질 듯
박근혜·강재섭·이재오·정몽준·이상득 집단 체제 암시

18대 총선 이후 여권인 한나라당이 당내·외의 대폭적인 변화는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당권, 대권 장악 경쟁에 따라 당 조직이 일정 기간 동안에는 당 지도부의 집단 체제 운영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많다.
만일 당 지도부의 집단 체제가 기정사실화 된다면 이 구심축에는 박근혜, 정몽준, 이재오, 강재섭, 이상득이라는 구도가 형성 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이들 5인의 행보는 이 정부 5년 임기와 2010년에 있을 지자체 선거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줄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정을 바탕으로 이들 5인 개개인의 모습을 스케치 해 봤다.
물론 이러한 일련의 상황은 총선 후 나타날 당 지도부 집단 체제 출범이라는 가설 전제다.
박근혜 전 대표는 총선 결과를 두고 당장 어떤 명분을 내세운 움직임은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공천 파문에 따른 무소속, 친박연대, 유세 지원 불참 등으로 인한 당내, 외 이미지 관리 차원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다 박 전 대표의 동생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 정치권 전면 등장이라는 돌발 상황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연유로 박 전 대표의 영향력 역시 총선 이후 새로운 평가에 의해 달리 보여 질 수 있다는 논리다.
총선 결과가 미칠 파장이 박 전 대표에게 긍정적이기 보다는 자칫 영향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급박한 요소가 곳곳에 포진해 있다는 점을 단적으로 부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엿 보인다.
강재섭 당 대표 경우는 박 전 대표 보다는 한층 여유 있는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공천 파문과 박 전 대표 끌어안기 차원으로 본인의 공천 반납이라는 예측 불허 수를 던져 국면 진정에 커다란 역을 했다는 평을 듣는다.
총선 이후 보장 된 자리를 박찼다는 동정론과 함께 이 같은 행동은 당 대표로 책임 있는 바람직한 자세라는 시각을 각인 시켰다.
당 대표로서 공천 불만 세력과 당 분열 직전 까지 치달았던 당내, 외 수습 처리 솜씨는 강 대표의 위상을 다시 드러내 보인 계기였다.
이재오 전 최고위원은 5인중 유일하게 선거 후 결과와 무관하게 직, 간접적인 무언의 중압감을 받을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다.
이상득 국회부의장 공천 관련 소장파 반발 중심 선상 축 의혹 뿐 아니라 ‘공천 막후 세력이 아니다’라는 본인의 해명과 관계없는 당내, 외 적대감 분위기 조성 등등이 도처에 깔려 있다고 예측된다.
단지 김대중 전 대통령,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들과 비교 해 볼 때는 더 없이 깨끗함을 인정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 점은 이 전 최고위원을 일방적으로 물밑 코너로 까지 몰 수 없는 본인의 구원에도 중요한 원인 작용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정몽준 최고위원은 당내, 외에 새로운 구도 재편의 구심점으로 등장한 인물이다.
무뚝뚝해 보이는 외모와 스킨 쉽 부족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로 ‘성 희롱’ 논란 정점에 놓이기도 했다고 주변 인물들은 전한다.
역량이 충분하다는 실재적인 평가와 달리 저평가에 시달리는 것은 외향적 성향의 정치권 판세에 따른 것이다.
이로 인해 정 최고위원이 정치권 뿐 아니라 당내, 외적으로도 주목 받지 못하고 있는 커다란 핸디캡이자,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본인의 가장 큰 숙제로 남아 있다.
이상득 국회부의장은 당선되면 ‘그 어떠한 직도 맡지 않을 것’이라 공표하며 이번 총선에 출마했다.
본인의 이 같은 주장에도 불구 이 부의장은 당선 여부와 관계없이 총선 후 가장 주목 받는 인물로 부상해 있다.
그의 행보에 따라 당내·외 뿐 아니라 정치권과 이 정부 명암에도 무관 할 수없는 처지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대통령 친형으로 인해 여권의 신, 구세력 대립 중간지대, 공천 갈등을 포함한 총선 결과로 빚어 질 당내, 외 문제와 정치권 관계 정립은 이 부의장을 빼 놓고 연계 고리를 푼다는 게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정부가 추진하고, 추진되어야 할 각종 정부 정책이 정치권과 직결 된 사안이 많아서다.
역대 정부의 공·과가 엇갈리는 것은 정치권과 지자제를 포한한 정부 관계 설정에 따라 결과가 나타났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해 보아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치권 상황으로 직에 연연치 않겠다는 이 부의장 언급은 실행 될 가능성이 적어 보인다.
여권의 이들 5인의 움직임은 당내·외 문제에 머물지 않고, 이들 움직임 여하에 따라 정치에 대한 국민적인 절대 가치 평가 결정에도 지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 보여진다.
전성남 기자
jsnsky21@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