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공천 내세운 계파공천 없었나
개혁공천 내세운 계파공천 없었나
  • 신아일보
  • 승인 2008.03.20 17: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월9일 치러질 18대 총선의 주요 대진표가 마무리 됐다.
한나라당이 처음으로 245개 선거구중 224곳, 민주당은 103곳 후보자를 확정 또는 내정했다.
영남과 호남지역을 중심으로 중진과 실력자가 상당수 탈락하고 현역의원의 탈락비율도 높아 나름대로 성과도 있었다고 평가 한다.
물론 공천 작업이 당의 이미지를 극대화 하기위한 이벤트성으로 흐른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결과 역시 공천 혁명이라는 평가에 걸맞은 인물이 제대로 선정 됐는지는 의문이 가는 대목이 적지 않다.
무늬만 개혁공천 이었다는 비판의 시각도 없지 않다. 후유증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리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도 18일 부산 경성대 특강에서 ‘민의를 전혀 존중하지 않은 공천’이라며 ‘당실세가 멋대로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사람만 공천해 버렸다’고 비판했다.
차남 현철씨 공천 신청 불허와 과거 측근들의 잇따른 공천탈락에 대한 불만의 표출일 수 있지만 우리는 계파 지분 챙기기에 치중한 한나라당 공천을 보는 민심의 일정 부분을 요약하고 있다고 믿는다.
통합민주당도 개혁공천 이라는 소리만 요란 했을 뿐이고 ‘구태공천’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천 확정자 146명 중 열린우리당 출신이 무려 129명에 이른 것부터가 그렇다.
‘노무현 실정’에 책임을 공유해야 할 386출신 구실세 대부분이 공천 보다 ‘탄돌이’들은 다시 나서게 하고 있다.
공천의 전반적 구도도 친 손학규계가 주류를 형성한 가운데 친 정동영계, 친 김근태계, 구 민주당계가 나눠 먹기식으로 일관했다. 파벌정치의 부활이 과거 회귀이긴 마찬가지다.
또 소위 독자적인 목소리를 냈던 소장파 의원들도 대부분 탈락의 고배를 마셨다. 그나마 소계파 보스에 밀착했던 일부 의원들은 간신이 살아났다.
이런 공천 현실을 경험하고 국회에 입성한 의원들이 의정활동이 어떨지 걱정 스럽다. 오로지 줄 대기에 성공해 입성한 의원들이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을까.
공천 과정에 문제가 많다. 공천을 하면서 한곳도 경선 등을 통해 지역당원들의 뜻을 물어본 지역이 없다. 외부인사가 다수인 공심 위에 절대적인 권한이 주어졌다.
수십 년 의정생활은 이 외부 인사들에 의해 몇 시간 만에 평가되어 생사가 결정된 것이다. 더욱이 일부 공심위원은 비례대표라는 혜택이 주어진다고 하니 중립성도 의심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