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조작으로는 ‘세계적 대학’어렵다
논문조작으로는 ‘세계적 대학’어렵다
  • 신아일보
  • 승인 2008.03.04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조작과 유사한 사건이 국내대학의 개혁 모델로 꼽히는 KAIST에서 있었음이 뒤늦게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이 대학 생명과학과 김모 교수가 ‘사이언스’와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등 세계적인 학술지에 잇따라 발표한 두 편의 논문이 조작된 것으로 밝혀졌다.
두 논문은 ‘미사일 항암제와 노화 억제 신약’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관심이 높았는데 현미경의 배율을 조작해 성과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논문의 조작이나 표절은 진리 탐구가 본령인 상아 탑에서 있어선 안될 지식 절도사기 행위이다. 그런데도 이런 학문적 범죄를 저질러 놓고도 태연히 정치권을 기웃거리니 공직사회의 문을 두드리는 이른바 ‘폴리페서’들이 한 둘이었던가. 더욱 심각한 문제는 도덕 불 감각증도 이만 저만이 아니다.
세계적인 학술지의 권위를 손상시키는 이런 논문조작을 결국 우리나라 과학 기술자들에 대해 검증이 까다로워지고 논문 게재가 어려워지면 그 피해는 선의의 연구자들에게 미치게 만련이다.
가뜩이나 이공계 기피 현상이 심각한 판에 그나마 연구자들의 의욕마저 꺾인다면 국가의 장래가 어떻게 되겠는가.
사실 이런 행태는 과학 기술계만 탓할 일도 아니다. 최근 새 정부의 교수 출신 고위 공직자 인선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논문표절과 중복게재 등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음은 교수사회에 이런 도덕불감증이 만연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참여 정부 때 표절시비로 교육부총리는 논문 중복 게재로 낙마했다.
이번에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이나 김성이 보건 복지부 장관 후보가 논문 표절과 부풀리기 시비에 휘말려 있지만 공직부적격성 논란만 있지 정작 학자적 자질에 대한 학계의 문제제기는 찾아보기 어렵다.
학계는 도덕률이 가장 강조되어야 할 직역이다. 학자로서의 불만스러운 과거가 드러나도 이를 대수롭지 않게 눈감아주는 교수사회의 빗나간 동료의식이 남아 있는한 학문의 발전이나 사회선진화는 요원한 얘기다. 대학들은 저마다 ‘세계적인 대학이 되겠다’며 홍보전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연구윤리조차 바로 세우지 못하면서 세계적인 대학을 운운하는 것은 잠꼬대나 다름없다. 표절과 조작은 신뢰를 생명으로 하는 학문의 죽음이요. 대학의 무덤이다.
교수들은 스스로 윤리의식을 가다듬어야 한다. 높은 도덕적 의무를 실천하지 못하면 결국 엄격한 처별 규정이라는 타율을 불려 들일 수밖에 없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