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의 ‘사회적 대타협’주목한다
한국노총의 ‘사회적 대타협’주목한다
  • 신아일보
  • 승인 2008.03.03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에게도 ‘아일랜드’식 사회적 대타협의 싹이 트일 수 있을까. 80년대 초기까지만 해도 빈곤에 시달리던 아일랜드가 임금 억제,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제공 등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오늘은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국가로 변신한 것은 우리에게 좋은 본보기다.
장석춘 한국노총 신임 위원장이 취임식에서 노사관계의 선진화와 경제 살리기로 일자리 창출에 제1의 국민적 과제로 이 같은 목표 실현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국민과의 약속이다. 그동안 노조의 투쟁 반대 대립 일변도에 익숙해진 터라 장 위원장의 각오가 새삼스럽게 들린다.
하지만 한국노총이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국가경제의 주요 축을 담당하고 노사화합의 새로운 패러임을 구축 하겠는 의지의 표명은 늦었지만 반가운 일이다.
그동안 머리띠를 질끈 동여맨 노조위원장만 봐왔던 국민에게는 대기업 총수 또는 국가 지도자의 취임사를 듣는 것처럼 반갑다. 청와대를 비롯해 전경련 대한상의 경총 등 재계는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여기에는 노사 관계를 재정립하지 않고는 지금의 경제난을 타게 할 수 없는 절박함이 깔려 있을 것이다. 일각에서는 한국 노총의 친 정부 친 기업 행보를 탐탁치 않게 바라보고 있다.
노조로서 응당 해야 할 고유영역이 있는데 이를 포기하면서 한나라당 정권과 결탁해 지나치게 정치화 한는 지적이다. 그러나 노동단체의 준 정치 집단화는 이해할 부분이 있다.
민주노총이 민주노동당을 통해 정치적 목적을 실현 하려한 것과 동일선상에서 받아 들여야 한다는 얘기다. 한국노총이 정부와 정책 공조에 성공하려면 국민의 신망을 얻고 선진화한 노사관계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 노총의 변화의지에 거는 기대는 자못 크다.
아일랜드 핀란드 스웨덴 등 유럽의 강 소국들처럼 정부나 기업 노조 등 사회구성원이 서로에 주고받는 다는 인식의 대전환이 절실 하다.
자발적인 양보와 합의가 따뜻한 시장 경제의 요체다. 우리는 특히 한국 노총이 대기업 노조에 임금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그 여유자금을 비정규직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복지에 쓰게 하겠다고 한 발언에 주목한다.
한국노총의 대변신이 노사관계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의 반목과 분열을 치유하고 ‘사회적 대타협’의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정부와 기업도 한국노총의 이런 양보와 희생에 마땅히 부응할 것으로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