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경기침체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 신아일보
  • 승인 2008.02.04 11: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권교체 이후 재계를 비롯한 사회 전 부야에서 ‘다시 한번 해보자’는 의지와 열정이 되살아나고 있지만 경기는 연초부터 흐리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2월 제조업 업황전망 실사지수는 5개월째 하락세다. 경기가 나빠질 것으로 전망한 기업이 많아졌다는 의미다. 작년까지 경제를 이끌었던 대기업 수출기업의 지수가 더 떨어졌다. 자동차, 조선, 통신 등 주력 산업이 특히 안좋다.
금융시장은 미국의 서브라임 모기지 부실에 따른 세계금융 시장 충격 때문에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정도다. 국제통화기금(FTA)은 전 세계의 올해 성장 전망치를 4.4%로 낮춰 잡았다.
IMF는 특히 미국의 전망치를 1.9%에서 1.5%로 내렸다. 올해 미국의 실물 경제 침체가 본격화 하면서 그 여파로 세계경제의 성장률이 동반 하락 할 것이란 예상이다.
원유, 국제원자재 및 곡물의 가격상승세 속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해외 불안요인은 통제할 수 없는 이상 우리는 안에서 해결방안을 찾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상승세를 이어오던 국내 경기에도 이곳저곳에서 경고 등이 켜지기 시작 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산업 활동 동향에 따르면 소비재 가 전달보다 1.7%줄어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광공업 생산도 전달보다 0.4%줄어 들었다.
특히 앞으로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 지수마저 0.1%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에서도 경기둔화가 가시화 하고 있다는 얘기다. 올해 성장률을 내건 이명박 차기 정부는 ‘연 7%성장’ 공약을 올해 6%로 낮춰 잡았지만 이것도 대내외 여건이 좋아야만 가능하다.
한은의 성장 전망치 4.7% 달성조차 어렵다는 우려가 나오는 판이다. 중요한 것은 성장률 보다 내용의 성장이냐다. 노무현 정부에서 성장률 등 거시지표와 무관하게 체감경기 서민 경기가 나빴던 것은 내수가 위축된 때문이다.
수출과 대기업마저 위축되면 지표와 체감경기가 다 나쁜 상황이 올 수 있다. 경기 침체가 예상 되면 충격을 최소화 하기위한 부양대책을 과감히 써야한다. 그게 중요한 서민대책일 수도 있다. ‘세계적인 동반 침체 탓’이라고 할 것이 아니다.
대통령이 바뀌면 투자 분위기가 달라질 수도 있지만 그것만으로 기업투자가 회복되리라고 기대 할 수는 없다. 규제완화와 경제 각 부분의 체질 강화를 바짝 서둘러야한다. 한국은행도 미국과의 금리 역전(逆轉)을 계기로 경기대책의 하나로 금리 인하를 적극 고려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