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복규의 한국 성씨를 찾아서 80-나주나씨(羅州羅氏)
정복규의 한국 성씨를 찾아서 80-나주나씨(羅州羅氏)
  • 정복규
  • 승인 2013.02.19 15: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조 나부는 고려때 중국서 건너와 나주에 눌러 살아
전서공.시랑공.금양군.연안군.직장공등 5개파로 분리
나철.나혜석.나웅배.나종일.나항윤.나지수 등이 후손


시조 나 부(羅富)는 고려 때 중국에서 건너와 정의대부, 감문위상장군을 지낸 뒤 나주에 눌러 살게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나 부를 시조로 하고 여황나씨로 하였다.

그 뒤 고려 성종 때 여황이 나주로 바뀌면서 나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나주의 다른 이름인 금성을 본관으로 한 금성나씨는 나주나씨와는 그 뿌리가 다르다.

구분하기 쉽게 나주나씨를 당라(唐羅), 금성나씨를 토라(土羅)라고 한다.

1세조는 나득규이다.

고려 때 진사를 지낸 4세조 나수영의 아들 나 위, 나 계, 나 석, 나 세, 나 원 대에서 전서공파, 시랑공파, 금양군파, 연안군파, 직장공파 등 5개 파로 갈라진다.

대종교의 초대 교주인 나 철(羅喆)(1863-1916)은 전남 보성군 벌교읍 칠동리 금곡부락에서 태어났다.

1909년 1월 15일 경성 재동 취운정에서 수십 명의 동지들과 함께, 단군대황 조신위를 모시고 제천의식을 행한 뒤 단군 교포명서를 공포하였다.

이때부터 이 날을 중광절(重光節)이라고 부른다.

그 뒤 교세가 확장되어 교도수가 2만여 명에 달하였다.

나혜석은 화가, 소설가로 이름이 난 인물이다.

1921년에는 한국 여류화가로서는 처음으로 개인전을 열었다.

1918년‘경희’, ‘정순’등의 단편소설을 발표, 여류 소설가로도 등장했다.

개화기 대표적인 여성 인물이다.

현대 인물은 나웅배(부총리, 국회의원), 나중배(육군대장), 나도석(서울농대교수), 나운영(연세대학장, 작곡가), 나종일(문학박사, 서울대교수), 나길조(대법원판사, 변호사), 나천수(서울고법판사), 나이수(민의원), 나창수(한국기계공업진흥회부회장), 나준수(정치학박사, 독일대교수), 나종수(판사), 나도성(재무부이사관), 나용수(국방대교수), 나갑수(국방대교수), 나성수(곡물검사소전남도지부장), 나민수(국세청국장), 나귀영(쌍용투자 광주지점장), 나복규(한일서예문화진흥회장), 나정웅(교수), 나상동(조선대교수), 나종주(동남사무기기 대표이사), 나채규(판사), 나금만(총경), 나영옥(총경), 나익진(상공부장관서리), 나호진(검찰지청장, 변호사), 나형수(검사), 나용주(전북도노동국장), 나상목(동양화가, 동국대교수), 나상균(이학박사, 울산대교수), 나종훈(판사), 나교희(단양군수, 중원군수), 나종일(문학박사, 교수), 나영균(문학박사, 이화여대교수), 나형수(검사), 나진선(한학자), 나제윤(한학자), 나병직(대통령비서관), 나종열(정보부비서관), 나명원(교수), 나필열(정치학박사, 교수), 나형열(신학박사, 교수), 나숭열(검사), 나도헌(의학박사, 보사부차관), 나도영(공주대교수), 나도상(조달청국장), 나항윤(대법원판사, 변호사), 나종오(국민대교수), 나규환(약학박사, 성균관대교수), 나병선(육군소장), 나상무(이학박사, 아주대교수), 나희필(육군중장), 나기봉(삼중교역사장), 나주택(익산군수), 나상윤(서울역장), 나지수(보해양조사장), 나선수(판사) 씨 등이다.

(무순, 전·현직 구분 안 됨) 집성촌은 전북 김제시 용동, 전북 정읍시 소성면 주천리, 전북 김제시 죽산면 죽산리, 전남 영암군 시종면 신흥리, 전남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전남 나주시 왕곡면 신포리, 전북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 전남 광양시 옥룡면 용곡리, 전남 영암군 시종면 만수리, 전남 무안군 일로읍 청호리, 전남 무안군 삼향면 임성리, 전남 나주시 삼영동, 전남 나주시 노안면 장동리, 전남 나주시 석현동, 경남 합천군 대양면 백암리, 충남 서천군 마서면 남전리, 충남 서천군 마서면 옥산리, 전북 김제시 명덕동 등이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159명이다.

문과 28명, 무과 29명, 사마시 102명이다.

인구는 2000년 현재 108,139명이다.

2000년 현재 서울 27,202명, 부산 4,303명, 대구 2,854명, 인천 7,534명, 광주 7,138명, 대전 3,291명, 울산 1,088명, 경기 23,046명, 강원 2,103명, 충북 2,421명, 충남 5,013명, 전북 7,505명, 전남 7,644명, 경북 3,116명, 경남 3,111명, 제주 770명이다.

광주, 전남, 전북 지역에 많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