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복규의 한국 성씨를 찾아서 60- 한산이씨(韓山李氏)
정복규의 한국 성씨를 찾아서 60- 한산이씨(韓山李氏)
  • 정복규
  • 승인 2012.09.11 15: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조는 호장공계 이윤경, 권지공계 이윤우 등 두명
이지함.이상재.이훈구.이상복.이일규.이관구등이 후손

한산이씨는 같은 뿌리이면서 호장공계의 이윤경(李允卿), 권지공계의 이윤우(李允佑) 등 두 명의 시조가 있다.

이윤경은 고려 때 호장을 지냈고, 이윤우는 고려 때 권지문하사사를 지냈다.

두 시조의 관계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드러난 것이 없다.

호장공계의 후손이 크게 번창했다.

한산은 충남 서천군 한산면의 지명이다.

오늘날에도 한산면은 한산이씨의 텃밭이다.

이 마을에는 시조 이윤경, 이 곡, 이 색의 묘소가 있으며 월남 이상재의 생가와 추모비도 보존되어 있다.

목은 이 색(1328~1396)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유학자이다.

찬성사 이 곡의 아들이며 이제현의 제자로서 고려 말 삼은(三隱)의 한 사람이다.

후손들은 목은 대부터 댓수를 헤아려‘목 은 몇 대손’이라고 말한다.

목은의 출생지인 경북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 전통마을에서는 해마다‘목은문화재’가 열린다.

사육신의 한 사람인 이 개는 목은의 증손이다.

토정(土亭) 이지함(1517~1578)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다.

그가 남긴‘토정비결’은 지금도 널리 애용되는 예언서다.

월남 이상재(1850-1927)는 서재필, 이승만, 윤치호 등과 독립협회를 조직, 민중계몽에 앞장섰다.

현대 인물은 이훈구(성균관대총장), 이헌구(이화여대교수), 이현복(서울대언어학과교수), 이혜구(서울대교수), 이상복(서울대교수), 이웅직(서울대교수), 이돈구(서울대교수), 이홍석(서울대교수), 이성규(서울대교수), 이준구(서울대교수), 이순구(고려대교수), 이덕봉(고려대교수), 이태원(고려대교수), 이효구(서강대교수), 이정석(이화여대교수), 이확구(연세대교수), 이성복(성균관대교수), 이경구(성균관대교수), 이일규(대법원장), 이영복(판사), 이상원(판사), 이명구(충북지사), 이기원(국방대학원교수), 이덕상 (경희대교수), 이성규(약학박사, 이화여대약대학장), 이세규(의학박사, 조선대교수), 이영규(정치학박사, 단국대대학원장), 이일규(이학박사, 동국대교수), 이진구(이화여대교수), 이홍직(문학박사, 고려대교수), 이관직(대성특수고무 사장), 이대규(중앙제약 상무), 이돈구(산업은행감사), 이명직(신학박사, 목사), 이범구(서예가), 이복규(대한건설공제조합장), 이봉구(서울신문상무), 이봉재(변호사), 이상규(태창증권사장), 이서구(극작가), 이석구(강경상고교장), 이수직(신탁은행 상무), 이영복(대한화재보험전무), 이원직 (동익산업 사장), 이윤복(쌍용시멘트전무), 이인구(대한통운상무), 이재규(의학박사, 결핵협회장), 이중구(동구출판 사장), 이창복(육군준장), 이풍구 (변호사), 이남구(육군소장), 이남규(변호사), 이훈구(제헌의원), 이진복(체신부차관), 이태현(농진청장), 이건식(김제시장), 이한수(익산시장), 이우복(대우그룹부회장), 이선규(동성제약사장), 이수복(아시아중석회장), 이관직(대성고무사장), 이은복(한국생산성본부이사장), 이준원(풍림산업회장), 이영직(동서산업사장), 이관구(조선일보논설위원, 서울신문 사장), 이종복(중앙일보논설위원), 이혜복(KBS방송위원), 이긍규(기자협회장, 국회의원), 이인구(대종회이사장), 이현복(문학박사), 이남복(약학박사), 이정복(충남대교수), 이경구(농협도지부장), 이효원(농학박사), 이홍복(국가대표사이클선수), 이성구(국가대표농구선수), 이현구(장서가), 이명복(대한교육보험감사) 씨 등이다.

(무순, 전·현직 구분 안 됨) 집성촌은 충남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 충남 서천군 한산면 온동리, 충북 청원군 오창읍 주성리, 전북 군산시 성산면 도암리 등이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758명이 있다.

문과 200명, 무과 36명, 사마시 518명, 의과 2명, 음양과 2명이다.

인구는 2000년 현재 136,615명이다.

서울 37,116명, 부산 3,007명, 대구 2,658명, 인천 10,210명, 광주 1,188명, 대전 8,393명, 울산 1,024명, 경기 34,482명, 강원 3,310명, 충북 7,362명, 충남 16,338명, 전북 5,383명, 전남 1,190명, 경북 3,060명, 경남 1,668명, 제주 226명이다.

경기, 인천, 서울, 충남, 대전 지역에 많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