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을 달라’ 외치고 있는 북한 주민들
‘쌀을 달라’ 외치고 있는 북한 주민들
  • 오 세 열
  • 승인 2011.04.14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이 전 세계를 상대로 전방위 식량지원 요청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지난해 말부터 아프리카 국가들은 제외하고 미국과 국교를 맺고 있는 유럽동남아 국가 국제기구 거의 모두에게 식량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최근에는 평안북도 정주, 용천, 선천 등에서 주민 수 십 명이 동시 다발적으로 ‘불(전기)과 쌀을 달라’고 외치는 소동이 있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몇 명이 먼저 ‘못 살겠다’ 불을 달라 쌀을 달라고 외치자 많은 사람이 집밖으로 뛰쳐나와 합세했다고 전한다.

북한 지도부는 1990년대 말부터 ‘2002년 강성대국 진입’구호를 내걸었다.

경제와 인민생활 수준을 고깃국에 밥을 말아 먹는 수준으로 올리고 강대국에 맞설 무력을 갖추겠다는 것이다.

한나라당 정옥인 의원이 입수한 동영상에 따르면 10살 안팎의 북한 남자아이들이 평안남도 덕천역 인근 쓰레기 더미에 앉아 종이 상자에서 음식을 꺼내먹고 있다.

동영상 아이들은 ‘꽃제비’인 것으로 추정된다.

꽃 제비는 북한에서 추위와 굶주림에 지쳐 거리를 방황하고 구걸·절도로 연명하는 청소년을 지칭한다.

김정일은 북한 주민이 겪고 있는 식량난의 주범이다.

전쟁에 쓸 쌀은 산더미처럼 쌓아둔 채 주민들에게는 결코 쌀을 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 대표는 ‘북한이 전쟁을 대비해 비축한 쌀이 100만t에 달 한다’고 말했다.

그 비축 규모는 2400만 명에 달하는 북한 전체주민의 석달치 식량 에 해당한다.

북한이 지난해 말부터 세계를 상대로 식량구걸에 나선 것도 위장일지 모른다.

중국조차 군 비축미를 움켜쥔 북한의 동냥에 별 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문제는 북한의 식량 위기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식량위기의 원인과 관련해 사회주의의 구조적인 문제, 주민식량을 신경 쓰지 않고 핵무기 개발 등 정권 보위에만 집중하는 집권층의 존재, 외부의 압박 등 여러가지 주장이 있지만 이유야 어쨌든 주요한 것은 오늘도 굶어 죽어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현실이다.

2월-3월 사이에 북한을 방문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식량계획(WFP) 유니세프(UNICEF)는 북한 주민2400만 명의 4분의 1이상이 굶주림의 위협을 받고 있다는 합동 보고서를 발표했다.

특히 상당수의 어린이가 성장부진과 저 체증 상태에 빠져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대북 식량지원에 대한 반대는 여전하다.

유엔 식량농업기구 등이 40만t 지원을 건의하고 미국도 인도적 지원에 나설 분위기지만 정부관계자들은 북한이 식량을 비축 하고 있다고 의심하고 보수적인 인사들도 여전히 군량미 전용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

천안참 폭침도 모자라 연평도 포격 도발까지 저지른 북한을 응징해야 하지만 이에 매달려 굶주림에 고통 받는 북한주민을 외면해서는 안된다.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하되 식량지원은 인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적 지원이 필요하다.

북한은 지금도 천안함·연평도 사태를 반성은 커녕 남측 도발이라고 생떼를 쓰고 있다.

일부세력을 빼고는 우리국민 대다수가 그들의 억지에 놀라나지 않는다.

젊은층의 안보 의식은 어느 때보다 고취돼 있다.

군은 북 도발에 10배 대응한다는 정신으로 재무장 했다.

철통 안보태세는 변함없어야한다.

그렇게 되면 북한 주민을 돌볼 여유도 생긴다.

한반도 긴장상황에서 강경 일변도만 능사는 아니다.

대북 식량지원은 남북 냉기를 대워즐 훈풍이 될 수도 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주민에게 돌팔매를 당하는 꿈을 꾼다는 비화가 공개됐다.

식량란을 방치한다면 진짜로 그런 사태가 올지도 모른다.

그럴 경우 한반도 위기상황은 더 어렵게 할 수도 있어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한다.

북한은 체제의 근본 성격을 변화시키지 않고서는 과거와 오늘의 불행이 미래에도 연장 될 수밖에 없다.

중동의 민주화 시위를 보라. 억압과 궁핍이 있는 곳에 투쟁이 일어난다는 진리를 다시 일깨워 주고 있다.

현재 김정일 세습체제는 중동 독제권력보다 몇배 더 억압과 가난을 강요하고 있다.

그리고 그자체가 스스로 변화할 가능성은 전혀 없다.

우리는 북한주민의 인권 통일 평화 등 거창한 구호가 아니더라도 다만 영 유아를 비롯한 취약 계층에 인도적 지원은 재개해야 한다.

하지만 대북지원에 앞서 분배의 투명성부터 확보해야한다.

세계의 흐름과 북한 주민이 우리를 부르는데 무엇을 주저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