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약 없는 ‘이산가족 상봉’
기약 없는 ‘이산가족 상봉’
  • 오 세 열
  • 승인 2010.11.11 16: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제 다시 못 볼 텐데 어떡해’, ‘통일되는 날까지 굳세게 살자’ 이번 60년만의 짧은 만남 후 이산가족 작별상봉 등은 말 그대로 눈물 바다였다.

다시는 못 만날 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이산가족들은 서로를 부둥켜안고 눈물바다를 이뤄 뼛속까지 파고드는 분단의 아픔을 절절히 느끼게 했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시작된 이래 이번까지 4000여 가족에 불과 하다.

그 짧은 재회의 기쁨조차 맛보지 못한 이산가족이 아직도 8만 명이 넘는다.

이 가운데 70세 이상 고령자가 77%나 되고 매년 3000명가량이 이산의 한을 풀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나고 있다.

이산가족은 시간과 싸움을 하고 있다.

남북은 25일 적십자회담을 갖고 상봉정례화 문제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지만 전망은 밝지가 않다.

지난달 회담에서 상봉기회를 늘린다는데 의견 접근을 이뤘으나 횟수나 조건 등에서는 견해차가 현저하기 때문이다.

우리측은 동절기 3개월을 제외한 매월 남북 100가족씩 상봉 정례화, 이미 만난 이산가족의 재 상봉 등을 제의했다.

그러나 북측은 3 -4차례 상봉을 제시하며 쌀50만 톤과 비료30만 톤 지원 및 금강산관광 재개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순수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이뤄지는 이산가족 상봉은 금강산 관광이나 대규모 식량지원과는 별개 사안이다.

그러나 정부가 이런 입장을 고수하는 한 시간과의 싸움을 벌이고 있는 고령 이산가족들의 한은 풀어줄 길은 요원하다.

북측이 제의한 화상 상봉과 영상편지 교환사업은 지난 2005-2007년에만 이뤄졌다.

이명박 정부 초기에 이들 사업을 재추진하자는 의견이 나왔지만 남북관계 악화로 불발돼 이산가족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더욱이 천안함 폭침으로 국민적 원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대북 쌀 지원 재개는 쉽지 않아 보인다.

과거 퍼주기 식 행태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일국가의 장래와 배곯은 민족지원이라는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수재민 쌀 지원결정은 내린 것은 긍정적 이다.

이를 계기로 남북 관계가 개선된다면 다행이 아닌가. 이번 회담에서 우리 측은 이산가족 상봉의 ‘정례화’를 제시하고 북측은 ‘정상화’라는 다소 미묘한 표현을 들고 나왔지만 진정한 의미만 있다면 정례화 합의를 못 이룰게 없다.

생을 마감하기 전에 혈육의 얼굴을 보고 싶다는 고령 이산가족의 비원을 생각하면 이런저런 핑계로 상봉을 미룰 수는 없다.

그래서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진전시키고 싶다면 남북관계를 하루빨리 개선해야한다.

그러나 대북지원을 포함한 인도주의 사업을 남북 정치상황과 연계시키는 한 관계개선은 어렵다.

물론 인도주의사업을 정치와 완전 분리하기는 쉽지 않다.

‘쌀과 비료 지원 하는 것은 정치적 결단에 따른 지원’이라는 현인택 통일부장관의 말은 일면 타당성이 있다.

그러나 정치문제와 분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정치문제로 남북관계 닫혀있을 때라도 인도주의 문제로 남북이 교감하는 통로를 확보하고 관계도 복원하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북측은 예나 지금이나 그들이 필요에 따라 이산가족 카드를 빼들 뿐이다.

인륜에 어긋나는 짓이지만 그런 태도는 쉽게 바뀔 것 같지 않다.

3대 세습이 이뤄진 이후에 달라질게 없다.

김일성, 김정일 못하던 일을 허약한 리더십의 김정은이 하기는 더욱 어려울 듯 싶다.

그래서 굶주리고 있는 북한 주민들을 생각할러니 인도의적 지원에서는 보다 과감하게 접근하는 게 바람직하다.

인주의적 지원확대를 통해 신뢰가 쌓이면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보다‘큰 틀의 시도’에 토대가 될 수도 있다고 본다.

아울러 정부는 외교력과 정보력을 동원해 국군 포로의 현황파악과 이들의 희망하는 조속한 귀한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한다.

남북간의 정치 군사적 상황에 따라 터무니없는 잣대를 들이대면서 이산가족 상봉을 지체시켜서는 안된다.

또 남측이 요구한 전면적인 생사확인 상시상봉 영상편지 교환,고향 방문 등을 통해 일회성인 이산가족 교류사업에서 벗어나야 한다.

이산가족 상봉이 경색된 남북관계를 개선하고 민족 화해와 협력 평화통일을 앞당기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만큼 북측은 이 문제에 접근해야한다.

동서독 교류 협력사가 주는 교훈을 잊지 말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