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가 글로벌 탄소규제에 대응해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지원을 정부에게 주문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개최한 ‘탄소중립 정책협의회’에서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강화된 탄소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29일 밝혔다.
철강·석유화학 등 제조업이 주를 이루는 한국은 2025년 미국의 청정경쟁법(CCA)과 2026년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시행을 앞두고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는 EU에 수출하는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 배출량에 따라 추가 비용을 부과하는 제도다. 2026년부터 철강, 알루미늄, 비료, 시멘트 등 6개 품목에 적용될 예정이다. 미국의 청정경쟁법은 2025년 시행을 목표로 하며 철강, 알루미늄, 화학제품 등 에너지 집약도가 높은 12개 제품에 대해 미국 제품 평균 탄소집약도 기준을 초과하는 배출량에 톤당 55달러의 탄소조정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업계는 특히 철강산업의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 지원을 요청했다. 김희 포스코홀딩스 전무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그린수소와 무탄소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철강산업은 전체 국가 온실가스 배출의 14%, 산업 부분의 39%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 산업으로 수소환원제철 기술 도입이 탄소 감축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철강 및 알루미늄 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세제·융자 지원을 밝혔다.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실장은 "탄소중립 플랫폼을 통해 공급망 내 기업들이 탄소 데이터를 공유하고 국제 탄소규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부회장은 "탄소중립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려는 기업들이 투자 리스크로 인해 의욕을 잃지 않도록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철강·알루미늄 업종을 시작으로 주요 산업의 탄소중립 이행실태를 점검하고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이번 회의에는 △박일준 대한상의 부회장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변영만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등을 비롯한 주요 업계 임원들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