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되야
자살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되야
  • 이 장 규
  • 승인 2010.09.14 16: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09년 한 해 동안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 수가 1만 명에 2.6명꼴로 미국, 독일의 두 배다.

증가율도 세계 최고다.

1999년 이후 10년간 자살자 수는 두 배 이상으로 늘었다.

2004년 정부가 자살 방지 5개년 대책을 내놓았지만 자살자는 더 늘어나고 있다.

한 교수의 말을 인용하면 한국 사회는 변화도 빠르고, 성취욕도 높기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자살을 막기 위한 훈련받은 전문요원이 24시간 자살 관련 상담을 하고 응급 출동까지 하는 곳은 전국에서 서울시 광역정신보건센터가 유일하다.

한국의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높지만 자살 예방 대책은 걸음마 단계이다.

또한 자살로 인한 사회적 손실도 크다.

국립서울병원과 이화여대의 조사에 따르면 2009년 기준 자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은 3조원에 이른다.

평균 수명을 감안한 미래 소득 손실, 긴급 수송비 등을 감안해 산정한 수치다.

정부 예산으로 자살 예방 사업을 정부 예산 3억원으로 TV에 알리고 나면 예산은 남는 것이 없으며 공공교육의 중요성을 알지만 예산과 인원이 부족해 한계가 있다.

현재 긴급 상담이 가장 잘되고 있는 서울시 위기관리팀도 전문 요원은 7명뿐이다.

현 정부 투자도 인색하다.

보건복지부의 직접적인 자살 관련 예산은 한 해 5억원에 불과하다.

각종 정신질환 문제를 아우르는 정신보건센터 사업비를 합쳐도 90억원 수준이다.

금연 홍보에만 연간 81억원을 사용하고 있는 데 비하면 턱없이 적다.

눈을 돌려 미국, 영국, 일본 등은 자살 방지 대책을 아예 법으로 정해 관리한다.

미국에선 심폐소생술 개념을 적용한 자살 방지 응급대처법을 교육받은 민간인이 10만 명이 넘는다.

우리나라의 자살자의 80%는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죽음을 택한다.

생명보다 소중한 것은 없다고 알고 있다.

더 이상 방치하지 말고 자살 방지 전담 핫라인을 대폭 늘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응급대처 교육함으로써 더 이상의 피해는 막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