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지도부 "스스로 모순" vs 印 "경선도 수능처럼 공정해야"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이번엔 '전략공천 원천 배제' 카드로 고삐를 바짝 쥐었다. 혁신위는 공천 관련 '초강수'를 포함한 혁신안을 잇따라 발표하면서 지도부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오신환 혁신위원은 20일 YTN라디오 '뉴스킹 박지훈입니다'에서 "공정한 경쟁이 원칙이 돼야 한다는 대전제를 말씀드린 것이기 때문에, 파격적이라고 볼 일은 아니다"며 "우리로서는 당연한 혁신안이라고 받아들이고 있다"고 당위성을 강조했다.
오 위원은 "소위 말해서 어떤 지역구가 비게 됐을 때 그것을 용산 사람들이나 아니면 특정 세력을 '낙하산 공천'하는 것이 결국 반혁신이고 구태로 보일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 어떤 공천이든 모두 공정한 경쟁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면서 "지도부가 '모든 혁신안을 적극 수용하고 존중한다'고 했기 때문에, 그 이후 절차를 밟아가지 않을까"라고 재차 압박했다.
당 지도부는 이에 대해 탐탁지 않은 모습이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지난 19일 기자들과 만나 "(3호 혁신안인) 청년 일정 비율 할당과 전 지역 전략공천 (배제)는 스스로 모순이 있다"며 "취지에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데 이상과 현실 사이에 약간 괴리가 있다"고 에둘러 지적했다.
그러나 혁신위는 오히려 드라이브를 더욱 세게 걸고 있다. 인요한 혁신위원장은 앞서 4호 혁신안에 '민생' 관련한 내용을 포함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그것이 아닌 다시 공천, 그것도 '전략공천 배제'라는 파격적인 안을 들고 나온 것이다.
사실 혁신위는 의결권을 갖지 못하므로 이들의 혁신안은 '권고' 또는 '제안'에 가깝고, 공천에 대한 전권은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에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혁신위가 공천에 입김을 불어넣는 것이 사실상 '윤심(尹心)'을 등에 업은 효과 아니냐는 해석이 정치권에서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인 위원장의 '마이 웨이'라는 시각도 있다. 22대 총선에서 '대통령실 프리미엄'을 받은 이들이 대거 출마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략공천을 원천 배제할 경우 이들에게 다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인 위원장은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용산 대통령실 참모들을 겨냥해 "수능이 왜 있나. 공평한 시험 아닌가"며 "시험을 쳐서 좋은 대학교, 좋은 학과에 갈 수 있는 공평한 길 아니냐"고 말했다.
이어 "경선도 수능처럼 그렇게 되길 바라야지만, 우리가 경쟁력있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필요성을 내세웠다.
한편 혁신위는 21일 대전을 찾아 과학기술계 의견을 청취한다.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을 두고 과학기술계의 반발이 있었던 가운데 이를 보안한 5호 혁신안을 발표할지 관심이 모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