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국감] 국세청 누적 체납액 100조 중 직원 1명당 75억 담당
[2023국감] 국세청 누적 체납액 100조 중 직원 1명당 75억 담당
  • 표윤지 기자
  • 승인 2023.10.02 08: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주영 의원 "적극적 현장 수색, 고발 등 은닉 재산 추적조사해야"
체납규모별 누계체납액 현황.(사진=김주영 의원실)
체납규모별 누계체납액 현황.(사진=김주영 의원실)

국세청 누적 체납액이 100조원에 달하는 가운데, 직원 1명당 담당하는 체납액은 75억원이 넘어 전담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주영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세 누계체납액 현황'을 확인한 결과, 지난해 기준 누계체납액이 102조5140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경신했다. 반면 국세청 체납직원 1인이 관리하는 체납액은 75억1200만원에 달했다.

금액별로 보면 10억원 이상 체납액이 47조1295억원으로 절반에 가까운 46%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 삼성, 서초, 역삼, 반포 세무서 순으로 각각 누계체납액이 2조원을 넘어 서울이 가장 많았다. 또 5개 세무서가 서울 28개 세무서 합계의 37.8%를 차지했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는 용인(2조2806억원)과 평택(2조1501억원) 세무서가 2조원이 넘는 누계체납액을 기록했다.

반면 올해 6월 기준 국세청 체납전담직원 1인이 맡아 정리 중인 평균 체납건수는 1296건, 금액은 75억12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주영 의원은 "올해 세수펑크로 인해 국가 재정이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국세청이 걷지 못한 누계체납액이 100조원을 돌파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며 "체납정리 인프라를 전면 재검토해 실효성 있는 체납 징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상식적으로 직원 한 명이 1000건, 75억원 넘는 체납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체납 징수 실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체납은 악의적 고액 체납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이에 대해 적극적인 현장 수색, 고발 등 은닉재산 추적조사가 가능하도록 정부가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2020년 국세청 국정감사에서 누적 체납액 관련 현황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세청은 이를 수용해 2021년부터 누계 체납액 현황을 국세통계포털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pyj@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