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일제히 이재명 영장 기각 촉구... '가결표 색출' 놓고선 내홍 격화
野 일제히 이재명 영장 기각 촉구... '가결표 색출' 놓고선 내홍 격화
  • 진현우 기자
  • 승인 2023.09.25 14: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고위서 지도부 "사법부, 정치검찰 사법파괴 행위 멈춰달라"
비명계 "기각 탄원서 남에게 강요하는 것, 독재의 시작"
친명계, 가결표 던진 의원 실명 거론하며 "해당행위"... 징계 시사
25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5일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청래 최고위원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하루 앞둔 25일, 당내 친이재명(친명)계와 비명계는 일제히 사법부를 향해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을 촉구했다. 하지만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을 두고선 이날도 양측간 극심한 갈등이 표출됐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진행된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사법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며 이 대표에 대한 영장이 기각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친명계 정청래 최고위원은 "(검찰은) 사똑 떨어지는 증거는 아직도 찾지 못해 뇌물죄로 엮지 못하고 경계가 애매모호한 배임죄로 엮어 영장을 청구했다"며 "재판부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찬대 최고위원도 "핵심 관계자가 죄다 구속돼 있고 검찰 스스로도 증거가 차고 넘친다면서 이 대표에게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는 주장은 '뜨거운 얼음물' 같은 모순"이라며 "사법부가 정치검찰의 사법파괴 행위에 제동을 걸어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명계 고민정 최고위원 역시 "법원이 제1야당 대표의 방어권 보장 위한 판단을 해주길 바란다"며 "제1야당의 대표를 구속해 야당의 당무가 정지되는 일이 벌어지지 않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송갑석 최고위원은 이날 '사퇴의 변'을 통해 "국회에서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건 결코 구속영장 발부 자체에 동의한 것이 아니"라며 "지금까지의 기나긴 시간엔 검찰의 일방적 독주만 있었는데 이제 이 대표에게도 그에 상응하게 방어권을 행사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 대표 구속영장 실질심사 기각 탄원서 제출 여부를 놓고 이른바 '가결표 색출 작업'을 둘러싼 당내 내홍은 더욱 격화되고 있다. 비비명계 의원들은 '독재의 시작'이란 격한 표현까지 사용하며 반발했다. 이에 대해, 친명계 인사들은 가결표에 던진 의원들을 공개적으로 거론하며 징계까지 거론하고 나섰다.

비명계 김종민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탄원서 제출을) 조직적으로 강요하듯이, 또는 만장일치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며 "오히려 국민들이나 판사한테 좋지 못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가결표 색출'을 놓고 "자기 주장을 남에게 강요하는 건 독재의 시작"이라며 "윤석열도 전체주의, 민주당도 전체주의"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조응천 의원도 이날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방탄 프레임을 혁파했으면 다음엔 팬덤 정당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체포동의안) 가결 이후에 팬덤 정당은 더욱더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친명계 서영교 최고위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가결될 경우 당이 어렵기 때문에 부결하자는 의견을 거의 다 모았다"면서 "(표결 후 의원총회에서) 설훈 의원이 스스로 격앙돼 ‘내가 이재명을 탄핵한 것’이라고 발언했다"고 설 의원의 실명을 거론했다.

이어 "해당행위다. (지난해 전당대회에서) 77.7%를 받고 선출된 당대표직인데 그 당대표를 흔드는 것"이라며 "그동안의 발언, 당에 해를 끼치는 행위 등 여러 가지에 대해 절차를 만들어나갈 수밖에 없다. 당에 그 기구들이 있다"며 설 의원 등 가결표를 행사한 의원들의 징계를 시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설 의원은 이날 오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당시의 동의안 표결은 당론이 아니었기에 해당 행위가 당연히 성립되지 않는다"며 "지도부는 해당행위 운운하면서 민주당 분열을 가속화시키는 언행이나 행위를 멈추고, 민주당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반발했다.

[신아일보] 진현우 기자

hwjin@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