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동부 및 강원 중부 내륙지역(경기 양평군, 강원 홍천군 등)은 그동안 상수원보호구역, 산림보호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의 복합적인 규제로 개발과 성장을 제한받아 지역발전을 이루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남아 있다.
특히, 홍천군은 강원특별자치도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보유한 기초 지방자치단체지만 아직까지도 철도가 지나가지 않고 있다.
홍천 철도유치에 대한 역사는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주민의 100년 염원으로, 근래에는 용문에서 홍천까지 연장하는 것을 핵심으로 2011년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었으나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제외되면서 사업이 백지화되기도 했다.
다행히, 지난 2021년 7월 용문~홍천 광역철도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면서 오랫동안 미뤄졌던 홍천 철도건설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다시 한 번 가질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2021년 10월 착수한 용문~홍천 광역철도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의 중간점검 결과가 비용편익분석값(B/C)에 못 미친다는 언론보도가 이어지면서 지난번처럼 국가철도망 구축사업에 포함되었다가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백지화된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닌가하는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에 따르면 지역이 성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 마련을 위해서는 인적·물적 자원, 교통 인프라의 확충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기본적 인프라 구축에는 '경제성' 보다 '형평성'과 '국토균형발전'의 논리가 우선되어야 한다.
용문~홍천 광역철도 사업은 수도권과 강원 중부 내륙을 연결하는 국가 기간 교통망으로서 교통 소외지역에 대한 접근성 향상을 통해 과밀한 수도권의 인구 분산 및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 정책적 가치가 큰 사업이다.
이에 협의회는 지역 현안을 넘어 국가 균형발전과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실현을 위해 '용문~홍천 광역철도'의 조기 착공을 강력히 촉구했다.
[신아일보] 조덕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