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루는 회의를 열지를 논의한다.
안보리는 이날 공개회의를 열어 이같이 논의한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11일 한국과 미국, 일본은 알바니아와 함께 안보리에 북한 인권과 관련한 안보리 회의를 열어 달라고 요청했다.
14일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북한 인권 회의 개최에 반대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에 절차 투표를 거쳐 회의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투표에서는 상임이사국의 거부권이 없으며 이사국 15개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면 안건으로 채택될 수 있다. 한미일은 북한 인권 관련 안보리 회의 개최에 필요한 9개국 이상을 찬성표를 확보한 상태다.
회의가 열릴 경우 2017년 이후 약 6년 만이다. 다만 북한 인권 관련 회의가 개최되더라도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의장성명과 같은 공식 조치는 채택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유엔대표부 대변인은 "북한 인권에 관한 안보리 회의는 권한 밖의 일이다. 인권 문제를 정치화하며, 대립과 적대감을 심화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라고 했다.
북한은 안보리 공개 토의 추진에 강하게 반발했다. 16일 김선경 북한 외무성 국제기구담당 부상은 "대결 의식이 골수에 가득 찬 미국의 추악한 적대적 면모를 적나라하게 폭로하는 동시에 미국의 강권과 전횡에 눌려 기능부전에 빠진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현 실태를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신아일보] 이인아 기자
inahlee@shinailbo.co.kr
저작권자 © 신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