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상반기 경영실적과 하반기 경기전망.[사진=중기중앙회]](/news/photo/202307/1730139_886983_135.png)
올해 하반기 중소기업 경기가 상반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원자재가격 상승 등 상반기 경영애로 요인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하반기 경기전망지수(SBHI)는 88.7로 상반기(82.3) 대비 6.4p(포인트) 상승했다. 경기전망지수는 100 이상이면 경기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 업체가 많다는 뜻이다. 100 미만이면 반대를 뜻한다.
하반기 분야별 경기전망지수는 상반기 대비 매출(90.7), 영업이익(88.5), 자금사정(86.0), 재고수준(100.6), 설비수준(96.8)이 호전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력수준(87.7)은 악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경영 애로요인(복수응답)으로는 원자재가격 상승이 5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내수부진 46.2%, 금리상승 30.8%, 인력수급난 23.4% 순으로 조사됐다. 하반기 경영 애로요인도 원자재가격 상승(46.2%), 내수부진(43.4%), 금리상승 28.6% 순으로 조사돼 상반기 경영애로 요인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내수경제의 예상 회복 시점은 중소기업 2곳 중 1곳이(50.8%) 2025년 이후를 응답했고 2024년을 응답한 기업이 44.2%, 2023년 이내로 예상한 기업은 5.0%에 불과했다.
2023년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44.2%)를 가장 많이 응답했고 환율변동 등 경영리스크 관리 21.6%, 시장 점유율 확대 등 외형성장 18.2%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는 세금 및 각종 부담금 인하(57.8%)가 가장 많았고 금융지원 55.6%, 원자재 수급 안정화 27.6% 순으로 높게 조사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무역수지 개선과 휴가철 국내 관광수요 증가 등으로 하반기 중소기업의 경영전망은 다소 개선될 전망”이라며 “정부는 원부자재 가격 인상과 준조세 등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을 줄이고 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규제개혁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