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혁신기구 권한·위상 놓고 '갑론을박'
민주당, 혁신기구 권한·위상 놓고 '갑론을박'
  • 강민정 기자
  • 승인 2023.05.25 16: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혁신기구 외부인사 영입, 전권 위임 놓고 계파 갈등
대의원제 폐지, 강성지지층 ‘개딸’ 엄정 대응도 이견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년미래연석회의 출범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청년미래연석회의 출범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무소속 김남국 의원의 가상자산(코인) 논란으로 홍역을 앓는 가운데 쇄신 의제를 전면에 띄웠지만 쇄신 방안을 두고는 계파 간 이견차가 불거지면서 갈등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특히 혁신기구의 권한과 위상을 놓고 내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민주당은 2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당 혁신기구의 구성 방향과 쇄신 방안을 논의했다. 

비명계에선 혁신위원장을 '당밖 인사'로 정해야 하고 이 대표가 전권을 위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친문계' 윤건영 의원은 최근 SNS에 "제일 중요한 것은 혁신위의 권한이다. 전권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며 "당 지도부의 권한을 과감하게 위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를 비롯, 의원 모두가 현재의 기득권을 내려놓아야 가능한 일"이라며 "혁신의 범위를 제한하면 안된다.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다는 심정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친명계는 혁신위에 전권을 주자는 것은 '사실상 비상대책위원회'를 만들자는 것이라며 비명계가 이 대표를 흔들려는 의도가 있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친명계인 양이원영 의원은 SNS에 올린 글에서 "혁신위는 갈등을 두려워하지 말고 과감한 혁신책을 제시할 수 있게 꾸려지길 바란다. 다만 혁신위는 임명, 당 지도부는 선출. 임명 권력이 선출 권력을 대신할 수는 없다"고 적었다.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으로 인해 불거진 대의원제 폐지 논쟁도 계파 갈등을 부추기는 한 요인이다.

정청래 의원 등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대의원제 폐지를 주장했다. 친명계는 전당대회에서 대의원들의 표심이 일반 당원들에 비해 과대대표 되는 것이 '돈봉투 사건'의 원인이었다고 보고 있다. 반면 비명계는 친명계가 대의원제 폐지를 꺼내든 데는 강성지지층, 일명 '개딸'이 대거 당원으로 입당한 속에서 차기 전당대회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의도라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비명계는 당 쇄신 방안 중 하나로 이 대표와 당 지도부를 향해 강성지지층 '개딸'과 거리두기를 하며 엄정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당은 최근 비명계 의원들에게 욕설과 저주를 담은 문자 폭탄을 지속적으로 보낸 당원에 대해 당적을 박탈하는 제명을 결정했다. 그런데 당 지도부와 친명계는 문자메세제를 보낸 당원이 '당원이 아니다'며 '내부 총질'이라고 반격했다.

조응천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하나 본보기로 제명을 한 건데, 그분이 나중에 다시 복당하면 되는 것이고 일생생활 하는데 지장이 있는 것도 아니다"며 "오히려 형사고발 같은 것을 하는 것이 더 강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아일보] 강민정 기자

mjkan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