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전기·가스·난방비 등 연료 물가가 1년 새 30% 넘게 상승하면서 에너지 물가 부담은 가중되고 있다. 전기와 가스, 대중교통 요금이 이른 시일 내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은 더 가중될 전망이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와 가스 및 기타 연료 물가 지수는 135.75(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31.7% 증가했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지난 1998년 4월(38.2%) 이후 24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연료 물가 지수는 소비자물가 지수를 지출 목적별로 분류했을 경우 산출되는 것으로, 전기료와 도시가스, 취사용 LPG(액화석유가스), 등유, 지역난방비, 부탄가스 등 통상 가정에서 사용되는 연료의 물가 동향을 의미한다.
연료별로 살펴보면 전기료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5% 상승하면서 1998년 1월(36.6%) 이후 4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도시가스는 같은 기간보다 36.2% 상승하면서 외환위기 당시(1998년 4월 51.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지역난방비는 전년 대비 34.0% 오르면서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5년 이후 최고치를 각각 기록했다.
전기료와, 도시가스, 지역난방비가 크게 오른 것은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이 공공요금 인상으로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전기요금의 경우 지난해 4월과 7월, 10월에 이어 올해 1월에 인상됐으며, 도시가스요금은 지난해 4월, 5월, 7월, 10월 등 네 차례에 걸쳐 올랐다.
특히 도시가스 공급이 되지 않는 지역에서 사용하는 등유는 전년 동월보다 37.7% 상승하면서 서민들의 실제 연료비 물가 부담은 더 커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5.6%)부터 지난달까지 5개월째 5%대를 유지하면서 둔화하고 있지만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다.
특히 정부는 전기와 가스, 대중교통 요금 인상을 예고한 만큼 서민들에 체감 물가 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전기·가스요금 인상은 소상공인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 파급 효과를 더 키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