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가을 국감장에 나타나야 할 최정우
[데스크칼럼] 가을 국감장에 나타나야 할 최정우
  • 송창범 기자
  • 승인 2022.09.27 05: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정감사란, 국회가 국정 전반에 관한 조사‧감시‧비판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일까. 국감은 매년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에 진행된다. 책임을 묻겠다는 의미도 포함된다.

그렇다면 올해 국감에선 누가 떨어지는 낙엽이 될까.

올해는 정권이 바뀐 후 처음 열리는 국감이다. 따라서 국회 여야 의원간 기 싸움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정책 논쟁보다는 정치싸움이 예견되면서 포커스는 오히려 기업인에게 맞춰지고 있다.

이재용, 최태원, 정의선, 구광모. 10대 그룹 총수들을 국감장으로 부르는 과시 의도가 숨어있다. 여야 의원간 증인채택 힘겨루기 양상으로 이미 이들 총수들을 증인 채택 후보군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여당과 야당의 위치가 바뀐 만큼 야당 의원들은 기업인과 현 정권의 유착(?)을 잡아내는 것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기업들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를 위해 경쟁이라도 하듯 총수들이 직접 나서 지원에 나서고 있다. 야당은 이점을 잡아 흠집 내기에 나설 가능성이 충분하다. 현 정권에서의 엑스포 유치지원 압박이 있었는가를 의혹으로 삼겠다는 것이다.

이에 맞서 여당은 전 정부시절의 기업인을 타깃으로 삼는다. 바로 포스코다. 전 정부 기관장 여러 명을 문제 삼기보다는 재계 5위급 총수의 목을 바로 겨냥하는 게 핵심이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이다. 8.3%의 지분을 갖고 있는 국민연금은 정부의 통제권 아래에 있다. 즉 이 지분을 바탕으로 민간기업인 포스코그룹 회장 직을 정부의 입맛에 맞춘 사람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실제 포스코그룹 회장 자리는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교체됐다. 2000년 민영화된 이후 최정우 현 회장 직전까지 포스코 수장은 임기를 채운 적이 없다. 앞서 권오준 회장도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년도 안돼 자리를 최정우 회장에게 넘겨줬다. 당시 임기는 2년가량 남아 있었다.

최정우 회장은 앞서 한차례 연임을 한 상태로 아직 2년여의 임기가 남은 상태다. 2024년 3월까지가 보장된 임기다.

야당은 최정우 회장을 지켜내며 산업계 국감장에서 기선제압을 한다는 각오지만 분위기는 여당 쪽으로 기운 모습이다.

포스코 상황 자체가 좋지 못하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올해 포항제철소 사내 성폭력 사건 등에 대한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최근엔 포스코 침수 피해 원인을 두고 경영진의 사전 대비가 미흡했다는 문제점도 제기된 상태다. 모두 최정우 회장 리더십 문제로 연결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침수로 인해 포항제철소 가동에 차질이 생기면서 연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경우 국내 산업계 전체에 타격을 입히는 주범이 된다. 따라서 이번 침수가 인재(人災)로 연결 될 경우 최정우 회장은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전망이다. 여당은 이점을 국감에서 파고들 것으로 보인다.

최정우 회장은 산자위 국감과 환노위 국감 출석은 일단 피했다. 하지만 행안위 국감에선 증인으로 채택됐다. 결국 국감장 증인대에 서는 것은 피하지 못한 것이다. 다만 산자위 국감에는 정탁 포스코 사장(대표이사)이 출석한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최정우 회장은 10대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증인에 채택됐었다. 하지만 그는 끝내 국감장 증인석에 오르지 않았다. 당시엔 상생 미이행 이슈로 김범수 카카오 의장이 3곳의 국감장에 불려가며 이슈가 됐다. 그 덕에 최 회장은 국감장에 불참하고도 큰 이슈로 부각되지 않았던 것이다.

올해는 다르다. 최정우 회장이 작년의 김범수 의장을 대신할 수 있을 만큼 큰 이슈를 갖고 있다. 최 회장은 지난해 처럼 아무 이유없이 국감장 불출석은 안된다. 비판을 받을 것은 받고 해명할 것은 해명하면 된다. 가을 국감장에서 기다려보겠다.

kja33@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