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 수장 자리를 둘러싼 하마평이 무성하다. 윤종원 행장의 국무조정실장 영전은 결국 없던 일이 됐지만 7개월 후면 차기 행장 인선 이슈는 다시 부각될 전망이다.
기업은행은 3대 연속으로 공채 출신 내부 승진 행장이 이어졌다가 문재인 정부 들어 끊긴 상황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보수 정부에선 공채출신 내부 승진 행장을 다시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기업은행 차기 행장 후보군이 전통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두터운 편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오히려 외부 출신 발탁이 가져온 폐단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서울 장교동 IBK기업은행 본점. (사진=IBK기업은행)
2019년 반장식·윤종원 등 두 친정권 인사들의 대두 끝에 결국 현임 행장으로 낙찰됐는데, 그 결과 당시 기업은행 2인자이던 임상현 전 전무나 시석중 전 IBK자산운용 대표, 김영규 전 IBK투자증권 대표는 모두 야인이 됐다.
특히 임 전 전무의 경우 대단히 이례적으로 자회사 대표로 갔다 본사로 돌아온 사례였다. 보통은 이렇게 복귀시키지 않는 게 기업은행 관행이었으나 임 전 전무가 IBK저축은행 대표 시절 엄청난 성과로 본사행 티켓을 다시 잡았다는 소리가 있었다.
현재 내부 출신으로 김성태 전무, 최성재 자금시장그룹장, 김영주 여신운영그룹장, 윤완식 IT그룹장, 임찬희 자산관리그룹장 등 다수의 준재들이 거론되는데, 윤석열 정부도 문재인 정부의 전철을 밟을 경우 2019년 전례대로 내부인재 학살이라는 부작용만 부각될 것이라는 우려도 그래서 나온다.
이와 관련해 김 전무는 임 전 전무처럼 외부 자회사 사령탑으로 나갔다 복귀한 케이스다. 둘 다 기업은행 내 비주류인 충남대 출신이라는 공통 코드도 있다.
더욱이 김 전무는 임 전 전무처럼 출중한 능력을 보여줬다는 점에 이어 금융 당국과 깊이 있는 인맥 다지기를 했다는 장점도 있다. 윤용로 전 행장 시절 비서실장을, 조준희 전 행장 때엔 미래기획실을 맡으면서 기획전략통으로서 금융위원회와 교분을 넓고 깊게 쌓았다는 것.
한 금융권 관계자는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금융을 단순 유틸리티처럼 대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최근 선언하기도 해서 금융 당국과 수준 있는 협력이 가능한 실력파가 환영받기 좋은 시기”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