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IBK기업은행장이 국무조정실장으로 발탁되는가 싶었지만 자진사퇴로 일단락된 가운데, 수장 자리를 메울 은행 내부인사에 이목은 집중될 전망이다.
윤 행장이 일단 7개월 남은 임기를 채울 것으로 보이지만 한때 빠른 차기 행장 발탁 이슈가 불거졌던 만큼 하마평을 무성할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ESG 경영은 공회전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기업은행 ESG 등급은 2019년부터 BB등급에 머물러 있다. 최근 하나금융그룹은 MSCI 지수(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사가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 평가에서 전년 대비 1단계 상향된 통합 A등급을 달성했다. KB금융은 MSCI ESG에서 AA등급을 기록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외부 출신 영입으론 내실 다지기에 한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새삼 고개를 든다. 끊겼던 내부 출신 행장 맥을 다시 잇자는 논의인 셈이다. 기업은행은 앞서 조준희·권선주 전 행장에 이어 김도진 전 행장까지 3연속 내부 승진을 이어왔다. 다만 김 전 은행장의 임기만료를 앞두고 ‘연임은 불가, 관료 출신 낙하산 인사설’이 나돌았고 반장식 발탁론으로 구체화됐다가 결국 윤종원 행장의 낙점으로 마무리됐다.
기업은행에 또 외부 출신을 택할지 대통령실의 선택이 주목된다. (사진=연합뉴스)
윤 행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승승장구했지만, 한덕수 국무총리의 항변대로 소득주도성장(소주성)과는 큰 상관 없이 기업은행장까지 발탁된 인물임은 틀림없다.
반장식 현 조폐공사 사장이 2019년 기업은행 수장 하마평에 오르내렸으나 평이 안 좋아 대신 친정부 인사 중에서도 소주성과 연관이 덜하고 덕망 있는 그가 낙점됐다는 것이다.
윤 행장은 실적도 우수했다. 하지만 큰 문제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이슈다. MSCI 평가에서 기업은행은 지난해 B등급을 받았다. 물론 기업은행 측은 영문공시자료에 일부 누락된 정보를 확인해 보완했고, B등급에서 BB등급으로 조정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보수정권에서는 기업은행장 자리를 탐내지 않았는데 심하다는 평이 겹쳤고, 그 문제가 이번에 재부각될 조짐이다.
현재 김성태 전무, 최성재 자금시장그룹장, 김영주 여신운영그룹장, 윤완식 IT그룹장, 임찬희 자산관리그룹장, 문창환 경영전략그룹장 등 다수의 내부 출신이 거론되고 있는 배경도 여기에 있다.
차기 기업은행장 인선은 법률상 차기 금융위원장 최종 임명 후 가능하다. 7개월 후면 새 금융위원장이 차분히 이 문제를 윤석열 정부 색채대로 풀어내기 적당하다는 풀이도 뒤따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