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시대④-IT] 네카오, '자율규제'로 AI·메타버스 주도
[윤석열시대④-IT] 네카오, '자율규제'로 AI·메타버스 주도
  • 윤경진 기자
  • 승인 2022.05.19 05: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네이버·카카오 주도 빅테크 플랫폼 기업 성장 속도
민·관 역량 결집…디지털 경제 패권국가 도약 목표

윤석열 정부가 출범했다. 110대 국정과제와 521개의 실천과제를 선정한 윤 정부는 이제 경제‧산업계에 대한 대수술을 시작한다. 따라서 그동안 기업 성장을 가로막던 불합리한 규제가 개선돼 기업하기 좋은 환경이 갖춰질 지 관심이 높다. 하지만 반대로 기대감 속 불안감도 존재한다. 유례없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변수로 떠오른 만큼 윤 정부가 산업계를 압박하는 카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신아일보>는 새로운 전환기를 맞은 산업계를 각 분야 업종별로 분석해 보기로 했다. 이를 통해 향후 산업계에 미칠 업종별 영향과 관전 포인트를 제시한다./ <편집자 주>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남궁훈 카카오 대표.[사진=각사]
(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남궁훈 카카오 대표.[사진=각사]

네이버와 카카오 등 빅테크 플랫폼 기업이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성장세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8일 IT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AI(인공지능)와 메타버스(3차원가상세계)를 육성, 민간 주도 자율규제를 통해 플랫폼 기업의 역할을 강화한다.

특히 윤 대통령은 지난 10일 취임식에 최수연 네이버 대표와 김성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 등을 초청, 플랫폼 친기업 정책 의지를 드러냈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주최한 스타트업 정책토크에서 “규제는 사회 발전을 가로막는 암적인 존재”라며 “플랫폼은 혁신의 하나로 사회 발전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윤 정부는 '110대 국정과제'를 통해 자율규제 방안과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플랫폼 기업을 관리하겠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내실 있는 불공정행위 피해구제 체계를 마련, 소비자 안전환경을 조성해 플랫폼·입점업체·소비자가 상생할 수 있는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신사업으로 점찍은 AI와 메타버스도 적극 육성한다. 네이버는 AI R&D(연구개발) 기관 네이버랩스와 가입자 2억명을 보유한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개발한 네이버Z를 앞세웠다. 카카오는 초거대 AI모델 '민달리'을 개발한 카카오브레인을 비롯해 카카오게임즈와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연합해 관련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윤 정부는 민·관 역량을 결집해 AI·데이터·클라우드 등 핵심기반을 강화하고 메타버스·디지털플랫폼 등 신산업을 육성해 디지털 경제 패권국가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AI R&D를 대규모로 추진하고 대학·중소기업에 AI 활용을 지원하는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한다. 또한 메타버스 특별법 제정, 일상·경제활동을 지원하는 메타버스 서비스 발굴 등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한다.

이를 바탕으로 2021년 기준 전세계 6위권인 AI 국가 경쟁력을 2027년 3위권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또 전세계 메타버스 시장점유율을 현재 12위 수준에서 5위권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ICT업계를 대표하는 디지털경제연합은 “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못한 많은 규제들로 산업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며 “(윤석열 정부가) 성장을 가로막는 광범위한 규제들이 혁신의 싹을 없애지 않도록 성장 환경을 만드는 데 집중해 달라”고 당부했다. 디지털경제연합은 한국인터넷기업협회와 코스포, 한국게임산업협회 등 7개 협단체가 디지털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바람직한 정책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2021년 11월 결성된 단체다.

youn@shinailbo.co.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