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익 견뎌 끝내 '제몫 찾아가는 금감원 인사' 상징성
윤석열 정부가 출범 초기부터 경제정책 정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긴축 돌입 등 엄중한 경제 상황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최상목 경제수석 등을 발탁해 대응에 나섰는데,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도 새 선장을 뽑아야 될 상황이라 시선이 모아진다.
13일 관가와 금융권에 따르면,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이 금융위원장으로 사실상 낙점됐다. 여기에 정은보 금감원장의 돌연 사의 표명으로, 내부 출신 발탁론과 금융을 잘 아는 검사 출신 중용론 등 설왕설래 중이다.
여기서 일단 경제 관료 출신으로는 이찬우 금감원 수석부원장, 이병래 한국공인회계사회 대외협력부회장이 거론된다. 이병래 부회장은 금융위 대변인 등을 지내 금융 전문성이 있고, 이 수석부원장은 기획재정부 출신이긴 하나, 금감원에 옮겨와 정착한 터라 내부 사정에 정통하고 조직을 아우르는 데 장점이 있다는 평이 있다.
일각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특성에 발맞춰 금융 관련 부문에서도 검찰 출신이 뜰 것으로 점치기도 한다. 검사 출신으로 금융 관련 경험을 많이 쌓은 인사들인 정연수 전 금감원 부원장보, 박순철 전 서울남부지검장, 박은석 전 금감원 국장 등이 차기 금감원장감으로 거론 중이다.
이런 가운데 금감원의 카운터파트격 조직인 금융위와의 관계 설정상 이찬우 수석부원장이 오묘한 위상에서 상당 기간 고생해 줘야 할 때라는 풀이가 나온다.
금융위가 정책, 금감원이 집행을 주로 맡으면서 업무협력을 하는 구도로 볼 수 있지만, 실상 금감원을 금융위의 수족 정도로 지금도 생각하는 인식을 가진 이들도 많다.
이런 구도를 깨는 게 다름아닌 검찰 출신 새 금감원장 발탁 가능성이다. 기획부터 집행, 수사지휘 등에 두루 능하고, 법무부나 대검찰청에서 정책 검토를 맡기도 하는 등 고위급 검사를 지낸 이들이 금융위에 대응할 금감원장 역할을 하기 적합하다는 것.
경우에 따라 새 정부 들어 금융위 기능을 대부분 뺏어 금감원을 강화할 때 검찰 출신 수장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문제는 내부 사기나 전문성에서 금감원 내지 경제 관료 출신이 새 금감원장이 되는 경우의 장점은 이 경우 뒤로 미뤄야 한다는 점.
일각에선 이미 수석부원장에 오른 이찬우 수석부원장이 강력해진 새 조직을 위해 한동안 2인자 자리에서 수고해 줘야 한다는 당부성 전망도 제시한다. 이런 점은 '제2의 최수현' 역할을 그에게 주문하는 것이라 큰 의미가 있다. 김주현 여신금융협회장의 문제적 행보와 금감원과의 악연을 깨는 역할에서도 주목된다.
차기 금융위원장에 유력한 김주현 회장은 행정고시 25회로 공직에 입문한 뒤 재무부에서도 핵심인 증권국과 금융정책실 등을 거친 ‘순혈 모피아’다. 금융위로 이동한 뒤에도 금융정책국장, 사무처장 등을 역임했다. 예금보험공사 사장, 우리금융경영연구소 대표(소장) 등 경험도 있다.
그런 그가 예보로 갈 당시, 최수현 당시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과 알력을 빚었다는 논란이 있었다.
김주현 당시 금융위 사무처장은 최수현 당시 금감원 수석부원장과 예보 사장 유력 후보로 꼽혔다. 금융위 내부에서는 최 부원장을 예보 사장으로 보내고, 김 사무처장을 최 부원장 후임으로 심고 싶어하는 기류가 강했다.
하지만 금감원 내부에서 최수현 수석부원장 체제가 열린지 막 1년쯤인데, 그를 이동시키는 건 너무 빠르다는 항의가 나왔다. 결국 권혁세 당시 금감원장이 나서 교통정리를 했다고 한다.
김 회장은 이런 볼썽 사나운 자리다툼 끝에 예보 사장을 지낸 뒤 우리금융그룹이 갖고 있는 연구소 대표까지 꿰차는 낙하산 행보도 선보였다.
최수현 당시 수석부국장은 이런 수모에도 자리를 지켜 금감원 발전에 기여했고, 결국 나중에 금감원장에까지 올랐다.

나중에 그가 '동양그룹 사태' 당시 신제윤 당시 금융위원장과 대등한 전문성과 식견으로 '관계공직자 4자 회동'을 하며 일을 풀어간 것은 금감원 역사에 남을 명장면 중 하나로 꼽힌다.
이번에 그런 금감원과의 악연이 있는 김주현 회장이 새 금융위원장감으로 거론되는 와중에 이찬우 수석부원장이 검찰 출신에 원장 자리를 양보하고, 금감원 출신들을 대표해서 자리를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는 건 그런 흐름 속에서 의미있는 데자뷰가 될 수 있다.
검사 출신 새 금감원장 후보들과의 구도가 그렇게 불편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이찬우 수석부원장에겐 그나마 위안거리다. 행시 출신인 이찬우 수석부원장은 1966년이고, 사시를 거친 정연수 전 부원장보는 1961년생,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에 쓴소리를 한 강골검사 출신 박순철 전 국장은 1964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