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배터리' 앞당긴다…SK이노, 미국 조지아 공대 협력
'꿈의 배터리' 앞당긴다…SK이노, 미국 조지아 공대 협력
  • 최지원 기자
  • 승인 2022.01.16 1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온전도도 100배 향상·신축성 확보
이승우 미국 조지아 공대 교수진이 개발한 고체 전해질. [사진=SK이노베이션]
이승우 미국 조지아 공대 교수진이 개발한 고체 전해질. [사진=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시대를 앞당긴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조지아 공대 이승우 교수진과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협력한다고 16일 밝혔다.

전고체 배터리는 현재 배터리에 적용되는 액체 형태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배터리로 배터리 용량은 늘리면서 화재 위험은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미래 배터리로 각광받는다. 아직 개발까지 넘어야 할 난제가 많아 꿈의 배터리로 일컫는데 SK이노베이션과 이 교수 연구진은 협업 체계를 갖추게 됐다.

이승우 교수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와 공동으로 혁신적인 고무 형태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개발한 해당 분야 석학이다.

이 교수가 개발한 고체 전해질은 기존 고체 전해질의 단점으로 꼽히던 이온전도도를 100배 가량 향상하고 고무와 같은 신축성까지 확보했다. 이온전도도는 배터리 내부에서 이온이 얼마나 잘 이동할 수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온전도도가 높아지면 배터리 내부에서 리튬 이온이 빠르게 전달 될 수 있다. 이는 곧 배터리 성능이 좋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 고체 전해질 신축성이 뛰어나면 배터리 내부에서 리튬이 나뭇가지처럼 뾰족하게 자라나는 ‘덴드라이트(dendrite)’로부터 전해질이 손상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존 이온전도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고체 전해질을 구현하는 것이 난제로 꼽혀왔던 만큼 이승우 교수가 개발한 고체 전해질은 혁신적인 연구 성과로 평가 받는다. 이와 같은 기술을 도입하면 한번 충전으로 현재 500킬로미터(㎞) 가량인 전기자동차 주행거리가 800㎞까지 가능할 전망이다.

SK이노베이션은 기존 독자적으로 확보해온 전고체 배터리 기술과 이 교수의 연구 성과를 더해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자체 연구와 적극적인 외부 협력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10월 미국 솔리드파워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설비에서 제조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를 함께 개발하기 시작했다. 또 2020년부터는 노벨상 수상자로 잘 알려진 존 굿이너프(John Goodenough) 텍사스 대학교 교수와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장은 ”탁월한 연구 성과를 거둔 이승우 교수진과 협력해 꿈의 전지라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시대를 앞당겨 회사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인류 편의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frog@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