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公도 원전대북지원 검토"… 최재성 "野 명운 걸어라"
"가스公도 원전대북지원 검토"… 최재성 "野 명운 걸어라"
  • 석대성 기자
  • 승인 2021.02.02 09: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스공사 보고서 "북한 수용능력 없어… 현시점에 사용불가"
최재성 "野 큰 실수"… 국민의힘 "뭐가 켕기기에 논점 흐리나"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 대통령, 서주석 국가안보실 1차장, 서훈 국가안보실장, 김형진 국가안보실 2차장.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 대통령, 서주석 국가안보실 1차장, 서훈 국가안보실장, 김형진 국가안보실 2차장. (사진=연합뉴스)

산업통상자원부가 원자력 발전소 대북 건설 추진을 고민하고 있을 당시 한국가스공사도 이를 검토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2일 윤영석 국민의힘 의원이 공개한 '북한의 에너지 현황 및 천연가스사업 협력방안 연구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산자부가 북한 원전 관련 문서를 작성한 2018년 5월로부터 약 7개월 후인 같은해 12월 가스공사에 이 보고서를 제출했다.

보고서는 '2018년 들어 한반도 정세가 대화 국면으로 전환되면서 남북경협(경제협력) 재개에 대한 관심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서론을 시작했다. 같은 해 4월 있던 남북정상회담과 8월 문재인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동아시아 에너지 공동체를 제안하는 등 해빙기 남북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약 200페이지에 걸쳐 북한의 에너지 정책 등 관련 정보를 면밀히 분석하는데, 원전과 관련해서도 한 차례 언급된다.

제5장에선 '북한 가스시장 잠재력 분석 및 협력 진출방안'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연구원은 '연료비와 운영비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북한의 자주 경제 표방에 원자력이 적합한 에너지원'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하지만 '설비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북한의 전력 설비 실태를 감안할 때 수용능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원전 공급에는 부정적인 의견을 달았다.

또 '원전으로 많은 전력을 생산해도 이를 수송할 수 있는 인프라(시설)가 미약해 원자력은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만큼 현시점에서 사용하기는 불가하다'고 결론을 냈다.

윤 의원은 이에 대해 "산업부에 이어 산하 기관인 공기업에서도 원전을 포함한 대북 발전소 건설 방안을 검토했다는 건 우연이 아니다"라며 "청와대와 대통령은 진위 여부를 분명히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스공사 측은 "북한 에너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였을 뿐 특별한 정치적 배경은 없다"는 입장이다.

최재성 청와대 정무수석 역시 한 라디오 방송에서 "청와대에서 검토한 바도 없고, 보고한 바도 없고, 추진도, 검토도 없었는데 (국민의힘은) 무조건 극비리에 추진했다고 이적행위라고 하고, 국정조사나 특검(특별검사제도)을 얘기했다"며 "야당이 큰 실수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USB 공개요구에 대해선 불가 입장을 피력하면서 "의혹 제기한다고 정상회담에서 있었던 일을 무조건 다 공개한다면 나라가 뭐가 되겠는가"라고 말했다.

이어 "야당이 책임을 지겠다고 명운을 걸면 저희가 면밀히 검토할 수 있다"며 "전혀 근거도 없고 논의조차 하지 않았지만, 혹시라도 빈 구멍이 있나 점검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회의 안건으로 올라간 적도, 회의한 적도, 대통령 이전에 수석 등에 보고한 적도 없고 다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청와대의 민주당의 반박은 국민의힘을 도발하는 모양새다.

박기녕 국민의힘 부대변인은 전날 논평을 통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제1야당 대표로서 합당한 목소리를 국민 대신 냈을 뿐"이라며 "무엇이 그리 켕기기에 청와대와 여당의 발끈하는 모습이 국민에게는 의아함을 안겨주기만 한다"고 비꼬았다.

또 이번 사건을 적극 반박했던 우원식 민주당 의원을 향해 "논점 흐리며 시간 끌기 하지 말고, 우 의원이 앞장서 북한 원전 건설 의혹의 실체를 밝히고, 산업부 파일 삭제를 지시한 사람을 발본색원하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bigsta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