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핵심 인프라 '정밀도로지도' 구축 범위 확대
자율주행 핵심 인프라 '정밀도로지도' 구축 범위 확대
  • 이지은 기자
  • 승인 2020.10.04 1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 약 1만4000㎞ 제작 추진
내년 수도권·강원·전라·경상권 등 4개 권역부터 완료
정밀도로지도 제작과정. (자료=국토부)
'정밀도로지도' 제작과정. (자료=국토부)

국토부가 자율주행차 상용화의 핵심요소로 꼽히는 '정밀도로지도'를 지속해서 확대 구축한다. 우선, 내년에 160억원 규모 정부 예산을 반영해 수도권과 강원권, 전라권, 경상권에 대한 정밀도로지도 제작을 완료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2년까지 전국 일반국도 약 1만4000㎞에 대한 정밀도로지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수도권을 시작으로 일반국도 정밀지도 확대 구축에 착수했으며, 내년에는 정부 예산안 160억원을 반영해 수도권과 강원권, 전라권, 경상권 등 4개 권역의 일반국도 정밀도로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정밀도로지도(축척 1대 500)는 차선과 표지 등 도로와 주변 시설을 3차원으로 표현한 정밀 전자지도로, 자율주행 기술개발과 이를 위한 차량-도로 간 협력주행체계(C-ITS)의 기본 인프라로 활용된다.

협력주행체계는 차량이 도로시설 및 다른 차량과 서로 통신하며 위험정보를 전파·공유하는 것으로 차량(자율·일반차)의 주행 안전성을 높인다.

정밀도로지도는 기상 악천후, GPS 수신 불량 등 상황에서 자율주행차량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레이더와 라이더 등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 탐색 거리(일반적으로 100~150m)보다 먼 거리의 도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자율주행 센서를 보완한다.

또,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 공통 저장소 개념으로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동적 지도(LDM)에서 기본지도로 활용돼 자율주행을 위한 협력주행체계 정보제공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 부분 자율주행차(레벨3)의 안전도 향상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의 판단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완전 자율주행차(레벨4~5) 상용화에 있어서도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전망이다.

정밀도로지도 샘플 이미지. (자료=국토부)
정밀도로지도 샘플 이미지. (자료=국토부)

그간 정밀도로지도는 평창올림픽 자율주행 시연(현대자동차 등)과 도심형 자율주행차 개발(서울대), 판교 자율주행 순환 버스 운행(경기도,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 세종·인천공항 자율주행 버스 시범운행(세종, 인천국제공항공사) 등을 지원했고, 지난 8월 기준으로 약 1200여개 관련 기관·기업 등에 약 1만8000여건을 제공해 활용하고 있다.

또, 국가기본도(1대 5000)의 수시 수정, 일반국도 도로대장의 갱신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자율주행 외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활용 범위를 점진적으로 넓혀갈 계획이다. 

앞으로 국토부는 지난 7월 발표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따라 2025년까지 4차로 이상 지방도 및 군도까지 정밀지도 구축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에 앞서 정밀도로지도에 대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올해 말까지 작업규정 및 표준을 정비해 고시·공고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부 자동차관리관은 "정밀도로지도는 앞으로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있어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 "국토교통부는 정밀도로지도 구축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한편, 구축된 지도를 민간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ezi@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