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코로나19로 중소협력사 줄도산 우려"
자동차업계 "코로나19로 중소협력사 줄도산 우려"
  • 이성은 기자
  • 승인 2020.03.25 16: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2회 산업발전포럼서 '수요 폭증' 시나리오 대비도 제언
25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연합회 대회의실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 중견기업연합회, 현대경제연구원 등 26개 산업·경제단체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영향과 대응’을 주제로 공동 주최한 제2회 산업발전포럼에서 기조연설하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사진=이성은 기자)
25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연합회 대회의실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 중견기업연합회, 현대경제연구원 등 26개 산업·경제단체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영향과 대응’을 주제로 공동 주최한 제2회 산업발전포럼에서 기조연설하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 (사진=이성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지속되면, 자동차업계 중소협력사의 줄도산과 산업생태계가 붕괴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 4∼6월 수요절벽 이후 7월부터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25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산업연합회 대회의실에서 한국경영자총협회, 중견기업연합회, 현대경제연구원 등 26개 산업·경제단체와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영향과 대응’을 주제로 공동 주최한 제2회 산업발전포럼을 열었다.

이날 자리에서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 자격으로 참석한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기조발언에서 “유럽과 미국의 코로나 감염 확산은 세계 경제를 공황 수준으로 침체시킬 우려가 있다”며 “지난달 중국의 자동차 판매량이 90% 감소한 데 이어 미국도 앞으로 3개월간 자동차 판매가 90% 감소할 전망”이라고 관측했다.

정 회장은 국내 자동차 기업의 연이은 해외 공장 폐쇄를 언급한 뒤 “500만대 생산 공장 중 겨우 60만대 수준만 정상 생산되는 상황”이라며 “사태가 장기화하면 중소협력업체들의 줄도산과 산업생태계 붕괴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준규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긴급건의’ 제목의 주제발표를 통해 미국과 유럽의 코로나19 확산 양상에 따라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고 전제하며 △4∼6월 중 수요 절벽 현상 이후 7월부터 수요가 급증하는 ‘수요 폭증’ 시나리오 △세계적인 확진자 급증으로 공황 수준의 ‘세계 경제 침체 우려’ 시나리오 등 두 가지 상황을 제시했다.

김 상무는 “두 가능성에 모두 대비해야 하지만, 이탈리아 등이 한국의 극복 사례를 적용한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첫 번째 시나리오에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며 “세계수요 절벽기에는 우리 주력기업의 생존에 총력을 집중하고, 수요 급증기에 대한 대비책도 미리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요 급감기에는 일감 부족으로 근로시간 단축과 휴가실시 등을 추진하고, 수요 폭증기에는 근로시간 규제 배제 등을 통한 생산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상무는 구체적으로 수요 절벽기 대책으로 △중소제조업 유동성 공급 확대 △세제 지원 확대 △노동비용과 고용유지 지원 △부품 수급차질 최소화 지원 △글로벌 수요절벽 대응 내수 촉진 △기업인 해외출장 원활화 지원 등을 제언했다. 수요 폭증기엔 △노동규제 적용 한시 배제 △경쟁력 확보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단기적 수요절벽에 대응한 세제 지원, 공공구매 조기집행 등을 최대한 조기 시행해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며 “사태 이후 수요 폭증기에도 미리 대비해 생산차질과 손실을 만회하고, 우리 산업의 성장기회로 이를 적극 활용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주제발표 이후 이어진 토론에서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우려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조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로 수요는 줄어드는데, 경제는 악화하고, 그러면서 가격은 하락해 기업들이 모두 다 어려워지는 형태가 된다”며 “1차적으로는 국내 수요를 보완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태정 금속노조 정책국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V’자형 회복보다 ‘L’자형 장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노동자의 생존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selee@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