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치료센터 가동 시작…이제 의료인력 부족 해결해야
생활치료센터 가동 시작…이제 의료인력 부족 해결해야
  • 이상명 기자
  • 승인 2020.03.03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증 환자 수용할 음압병상 및 의료진 부족 심각”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코로나19 경증환자 치료시설인 대구 1생활치료센터를 방문해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총리실)
정세균 국무총리가 2일 코로나19 경증환자 치료시설인 대구 1생활치료센터를 방문해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총리실)

정부가 생활치료센터 가동을 시작했지만 중증 환자를 수용할 음압병상과 의료진은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모든 환자가 감염이 확인되는 즉시 병원에 격리 입원해 치료를 받지만 생활치료센터가 가동 되면 환자 증상(경·중)에 따라 입원 치료를 받을지에 대해 결정한다. 

이는 정부가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는 체계를 변경하면서다. 격리 입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증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생활하며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대구와 경북을 중심으로 쏟아지고 있는 확진자 발생에 따른 병상 부족 현상이 이같은 대응지침으로 해결 가능하고 중증환자가 치료 적기를 놓쳐 사망하는 일이 없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응지침’ 개정안에 따라 그동안 환자의 중증도와 상관없이 모두 격리 입원 치료해왔던 체계를 바꾸게 됐다. 

이는 대구에서 시작된 신천지 예수교 관련 환자가 무더기로 발생하기 전까지는 치료 병상이 부족하지 않아 문제가 되지 않았던 방역 정책이다. 그러나 대구 지역을 중심으로 최대 500~800명의 추가 환자가 발생하며 치료 병상과 의료 인력이 부족 현상을 겪자 임상 전문가들 사이에서 모든 환자를 격리 입원시킬 필요가 없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입원 치료가 필요없는 경증 환자까지 입원해 부족한 병상 및 의료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해 중증 환자가 대기 중 사망하는 사례가 나오는 한편, 의료진의 감염 등 위험 부담마저 커진다는 문제를 지적한 것이다. 

실제로 ‘코로나19’ 환자의 80%는 경증 환자라고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추정하고 있다.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조차도 경증 환자가 약 81%, 중증 14%, 위중 5%로 조사됐으며 경증의 경우 격리 입원 등의 치료 없이 자가 치료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중증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적기에 경증 환자까지 격리 입원해 중증 환자가 대기 중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는 등 치료침상 및 의료진의 부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한편, 확진 판정을 받으면 바로 격리 입원했던 지금까지와는 달리 앞으로는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발생하면 시·도별 환자 관리반(의료진 구성)이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할 전망이다. 

중증도는 경증-중증도-중증-최중증의 4단계로 구분되며 이 가운데 중증도 이상 환자는 음압격리병실 혹은 감염병전담병원에 격리 입원돼 치료한다. 다만 격리 입원해 치료할 필요성은 낮지만 감염병의 전파를 차단하고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상태를 지켜봐야하는 경증 환자는 국가가 운영하는 생활치료센터에 수용된다.

생활치료센터는 1인1실로 운영되며 전담의료진을 배치할 전망이다. 하루 2회 환자를 모니터링해 증상이 악화되면 즉기 의료기관으로 전원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이에 따라 부족한 병실·침상 및 의료진의 수급에도 어느정도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반면 새로 설치되는 생활치료센터에 경증환자를 수용하는 것만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확진 환자를 대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보건당국은 새로 확진 판정을 받은 경증 환자 뿐 아니라 기존에 입원 상태에 있는 환자 중에서도 격리 입원이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 재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vietnam1@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