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정부, 코로나19 후폭풍 대비해야
[기자수첩] 정부, 코로나19 후폭풍 대비해야
  • 김소희 기자
  • 승인 2020.02.27 1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1월20일 1번 확진환자가 나오고 하루에 2명가량 추가 확진될 때까지만 해도, 그 누구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이렇게까지 심각해질 줄 몰랐다. 정부가 방역 등 선제적인 대응에 나서면서 금세 사태가 잦아들 것이란 낙관만 해 왔다.

하지만 지나치게 방심했던 탓일까? 문재인 대통령이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던 2월13일 “코로나19는 머지않아 종식될 것”이라고 밝힌 뒤부턴 전혀 다른 양상으로 돌아가는 모양새다.

꺼질 줄만 알았던 코로나19의 불씨가 되살아나더니 그 세력을 키워 걷잡을 수 없는 불길로 치솟아 사회를 집어삼키고 있다. 이로 인해 헌정 사상 처음으로 국회가 폐쇄됐고, 전국 어린이집·유치원의 휴원과 초·중·고등학교 개학이 연기됐으며, 기업들이 셧다운(Shut down; 일시적인 업무정지) 상태에 놓였다.

코로나19로 일상이 달라졌으며, 이에 모두가 코로나19의 기세가 하루빨리 꺾여 진정국면으로 접어들기만 바라고 있다.

아직 사태가 소강되지도 않아 경기회복 등을 논하는 게 시기상조일 순 있지만,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가 우려된다.

코로나19 사태가 온전히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2020년 2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전월 대비 7.3포인트(p) 급락했다.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 이후 최대 하락이다. 유통업계의 손해만 해도 코로나19 한 달여 만에 임시 휴점 등으로 50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게다가 메르스가 맹위를 떨친 2015년, 얼어붙은 소비심리에 경제성장률이 0.2~0.3%가량 내려앉았고, 6개월 이상 경기지표가 하락하면서 정부가 경기침체 전환을 공식화했다. 2003년 사스가 유행했을 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분석 기준, 전년 대비 수출증가율이 그 해 연평균 19.3%보다 크게 밑돈 3.6%에 불과했다.

코로나19는 더욱 심각할 수 있다. 한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국가가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도 감소할 것이란 부정적인 관측이 잇따라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수록 그만큼 회복하는 데까지 필요한 시간도 더 길다. 또 손실은 눈덩이처럼 불어나 정부가 전망한 올해 경제성장률 2.4%는커녕 1%대에도 미치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 등 후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추가경정과 금리인하, 세금감면 등 동원할 수 있는 범위 내 최대한의 지원이 요구된다. 지금도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 대상으로 기금을 운영하고 있지만 어려움을 극복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정부 차원의 특단의 조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다.

ksh333@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