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중소 PP 콘텐츠 육성,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데스크 칼럼] 중소 PP 콘텐츠 육성,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 신아일보
  • 승인 2019.11.28 16: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원재 산업부장
 

방송업계는 현재 넷플릭스를 비롯해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티빙 등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업계의 급격한 성장과 통신사와의 인수·합병(M&A), 1인 미디어의 활동 등 엄청난 변화의 물결을 타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콘텐츠사인 중소 ‘프로그램 프로바이더(PP; program provider)’는 시장에서 여전히 소외되고 있다. 

PP사는 매년 10월이 되면 케이블TV(SO), 인터넷TV(IPTV) 등 방송 플랫폼사와 수신료 계약을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플랫폼이 PP를 대상으로 계약을 진행한다는 공문을 보내고 PP사들은 플랫폼이 요구하는 양식에 맞춰 회신을 한다.

하지만, 자리가 좋은 채널은 자본력이 튼튼한 종편과 지상파방송 콘텐츠 등이 차지하고 있다. 이를 두고 중소 PP사들은 우수콘텐츠를 발굴할 수 없는 구조라는 푸념을 늘어놓기도 한다. 

일각에선 콘텐츠사가 제작을 하느니 재미있던 프로그램을 구입해서 편성하는 게 이익이라는 얘기마저 돌고 있다.

중소 PP사를 활성화하면 콘텐츠 확대를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이를 위해 PP사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지만, 외부 환경에 변화를 주는 것도 방법이다. 

플랫폼이 PP사에 수신료 지급 시 고려하는 요소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시청률 기준을 낮추고, 자체제작 기준을 높여 제작이 많은 PP사들에게 수신료를 많이 지급하는 구조 등으로 바꿔야 한다.

이렇게 되면 PP사들은 수신료와 좋은 번호를 받기 위해 제작비율을 높일 수밖에 없고, 시청자에겐 지상파방송이나 종편과는 다른 차별화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콘텐츠 제작 활성화란 긍정적인 변화를 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정부의 탄력적인 제작지원 정책도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매년 정부가 제작 지원한 우수 콘텐츠를 공유해 콘텐츠가 부족한 방송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정부 주도하에 제작한 콘텐츠를 공유시켜 콘텐츠 부족 현상을 해소하는 게 중요한 만큼 사업자 스스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정부는 정책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가령, 정부의 제작지원 사업에 지원 대상에 대한 재검토, 지원과 제작에 필요한 융자 조건의 완화, 우수 콘텐츠에 대한 탄력적인 제작비 지원 등의 변화가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록돼 있는 방송사(PP)는 약 250여개사다. 이중 방송을 실시하고 있는 채널은 180여개사 정도 된다. 이 채널을 들여다보면 상당수 채널은 타방송사로부터 프로그램을 구입해서 방송하는 편성 PP로 분류된다.

180여개 채널이 SO와 IPTV 3사로부터 수신료를 받고 있는 셈이다. 플랫폼사도 이 채널들에게 수신료를 분배함에 있어 많은 고민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P사들도 공조를 이어가야 한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올해 중소 PP사의 콘텐츠 제작과 활성화를 위해 협회 내부에 별도 협의체를 만들어 운영 중이다. 

협의체는 PP사간 자체 제작한 콘텐츠에 대해 공유하고 타 채널에서 방송할 수 있도록 협의했다. 

실버아이TV와 ETN연예채널이 자체제작한 콘텐츠의 협업모델은 일례로 떠오른다.

협의체 운영이 지속되면 시청자에게 양질의 콘텐츠가 돌아갈 확률은 그만큼 커지는 셈이다. 

방송 플랫폼과 콘텐츠 생태계의 무한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양질의 콘텐츠 활성화’란 대전제에 다가서기 위한 중소 PP사의 활성화는 시대적 트렌드에 편승하는 지름길이 될 수 있다.

/나원재 산업부장

master@shina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