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생활 중요 분야에 '의류' 빠지고 '금융' 들어와
소비생활 중요 분야에 '의류' 빠지고 '금융' 들어와
  • 김소희 기자
  • 승인 2019.11.13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소비자원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발표…2013년 조사 이후 '금융' Top3 첫 합류
'식품‧외식' 중요도 비중 감소, 만족도 1위…피해 경험 품목 1위는 '배달‧포장음식/식품'
소비생활분야별 중요도 추이(사진=한국소비자원)
소비생활분야별 중요도 추이(사진=한국소비자원)

소비자들이 꼽은 소비생활의 중요 3대 분야에 ‘의류’가 제외되고 ‘금융’이 포함됐다.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전국 20세 이상 남녀 8000명을 대상으로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13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3대 소비생활분야는 ‘식(식품‧외식)’과 ‘주(주거‧가구)’에 이어 ‘금융(금융‧보험)’으로 나타났다.

소비생활 11개 분야 중 ‘금융‧보험’의 중요도는 그간 꾸준히 높아져 왔지만 ‘의류’를 제치고 3순위 안에 포함된 것은 2013년 조사 이래 처음이다. 특히 50대에서의 인식이 급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외식’은 4번에 걸친 조사에서 계속 1위를 차지했으나 그 중요도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2019 국민의 소비생활만족도(사진=한국소비자원)
2019 국민의 소비생활만족도(사진=한국소비자원)

소비자가 체감하는 종합 소비생활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9.9점으로, 보통수준으로 평가됐다. 이는 2017년(76.6점)에 비해 하락한 것이지만, 2015년(63.8점)보다는 높다.

소비생활분야별 만족도는 ‘식품‧외식(71.0점)’, ‘의류(70.9점)’, ‘병원‧의료(70.8점)’에서 높았다.

종합 소비생활만족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은 분야는 ‘금융‧보험(67.9점)’, ‘경조사서비스(68.2점)’ 등이었다.

소비자원은 “‘금융‧보험’ 분야는 소비생활 중요도가 상승한 것에 비해 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종합 소비생활만족도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 2년간 11개 소비생활분야 26개 품목에서 소비자문제를 경험한 소비자의 비율은 52.6%였다. 이는 2017년(43.4%)에 비해 9.2%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소비자문제가 많이 발생한 분야는 ‘식품‧외식’, ‘정보통신’, ‘의류’ 등 순이었다.

실제 소비자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품목은 ‘배달‧포장음식/식품(7.2%)’이었다. ‘배달·포장음식/식품’에 대한 피해 응답률은 그간의 대표적인 소비자피해 다발 품목인 ‘옷‧신발‧가방(6.1%)’, ‘식료품(5.9%)’, ‘정보통신기기(4.4%)’, ‘병원‧의료(4.1%)’ 등보다 높은 수준이다.

소비자문제 유형 중 ‘거래 시 사업자의 부당행위’는 ‘보험’, ‘정보통신기기’, ‘금융 거래’ 등 순으로 많이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거짓‧과장‧기만 표시광고’에 대한 경험은 ‘배달‧포장음식/식품’, ‘외식’, ‘식료품’, ‘의약품’ 등 순으로 많았다.

거래방식별 월평균 이용 횟수는 편의점, 대형마트, 재래시장, 모바일 쇼핑, 로컬푸드 마켓, 인터넷쇼핑 등 순으로 많았다.

반면 소비자문제 경험률은 전화권유판매(67.1%), 해외직구(50.4%), SNS 플랫폼 쇼핑(49.4%) 등 순이었다.

사업자와의 거래에서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 중 64.6%가 이의를 제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7년의 66.1%에 비해서 소폭 감소한 것이다.

소비자 이의제기 시 사업자의 대응에 대한 소비자 불만족률(사진=한국소비자원)
소비자 이의제기 시 사업자의 대응에 대한 소비자 불만족률(사진=한국소비자원)

이의 제기 후 사업자의 대응에 대해서는 ‘만족이(31.1%)’이 ‘불만족(10.9%)’보다 3배가량 높았으며, 불만족률은 2017년(10.6%)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17개 광역지자체별로는 대구(76.8점), 부산(73.4점), 울산(72.2점), 전남(72.0점), 인천(71.7점), 세종(71.7점), 전북(71.7점), 광주(71.6점) 등의 종합 소비생활만족도가 평균보다 높았다.

반대로 제주(62.8점)와 경남(65.1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 2017년에 비해 세종, 전남, 강원은 소비생활만족도가 상승했고, 그 외의 지역은 전반적으로 낮아졌다. 특히 경남, 경북, 경기의 하락폭이 컸다.

소비자원은 “이번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를 정부의 제5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수립 시 참고자료로 제공하고, 지역 맞춤형 소비자정책 발굴 및 소비자행정 활성화에도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sh333@shinailbo.co.kr